이사야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328

이사야 강해 제138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8강(사30:23-26)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6일(월) 이사야의 ‘씨 뿌리는 비유’와 하나님의 은혜(사30:23-26) 본문 이사야의 예언은 언뜻 보면 그저 농사에 관한 평범한 이야기입니다. 농부가 밭에 종자를 뿌리고 그 결실을 얻어 함께 나누어먹는다고 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야기 가운데 농부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식물을 잘 자라게 하고 많은 열매를 맺게 해주셔야 그것으로 사람뿐만 아니라 가축이 모두 배불리 먹고 살 수 있다고 하는 말씀이 들어 있어 본문은 일종의 신앙적인 가르침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더구나 이사야가 하나님의 세상심판과 백성에 대한 회복의 내용까지 예언하고 있기 때문에 본문은 영적인 ..

이사야 강해 제137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7강(사30:18-2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5일(주일) 백성을 돌이키시는 하나님의 기다리심, 은혜, 긍휼, 공의 등에 대한 이사야의 설명(사30:18-22) 제29장 제23-24절에서 이사야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하여 첫째, 거룩하신 이 둘째, 경외의 대상 셋째, 총명과 깨달음을 주는 하나님 등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 의미는 (1) 하늘보좌에 계시는 거룩하신 창조주 하나님, (2) 인간의 몸으로 오시는 메시아 그러나 경외의 하나님, (3) 성도들에게 총명과 깨달음을 주기 위하여 내주 역사하시는 하나님 등으로 새겨볼 수 있다고 이미 말씀을 드린 바가 있습니다. 그와 같이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의 존재..

이사야 강해 제136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6강(사30:15-17)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4일(토) 창조주 하나님의 구원을 얻자면 어찌하여야 하는가?(사30:15-17) 이사야는 본문 첫머리에서 창조주 하나님의 구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쉽게 나열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지 아니하고 자기 힘으로 구원을 얻으려고 날뛰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파멸을 당하는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겨우 하나님의 기치에 모여든 남은 자들에 대하여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새로운 시작, 곧 하나님신앙이 무엇인지 장차 온몸으로 보여줄 메시아와 함께 열어가는 복음의 시대를 미리 예고하고 있는 예언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각 구절을 검토하면서..

이사야 강해 제135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5강(사30:8-14)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3일(금) 동족인 유다 왕국의 백성들의 죄를 이사야가 조목조목 지적하다(사30:8-14) 본문의 말씀은 후세에 영원히 전할 수 있도록 반드시 책에 기록하라고 하는 단서가 붙어 있는 말씀입니다(사30:8). 그만큼 예언의 내용이 중요하다는 뜻이며 동시에 세월이 지나도 그 말씀의 효력이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 말씀을 이사야가 어떻게 이해를 하고서 그의 동족들에게 전했는가가 그 예언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해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당시 이사야의 경험과 히브리정경에 대한 그의 지식의 상태를 감안하여 한번 이해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각 구절의 내용을 ..

이사야 강해 제134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4강(사30:6-7)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2일(목) 애굽 제국을 우상으로 섬기고 있는 사대주의(事大主義) 나라들에 대한 이사야의 강력한 경고(사30:6-7) 성경말씀은 최소한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생명의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첫째, 사면초가(四面楚歌, 마치 패장 항우의 곧 죽을 운명을 일깨워주듯이 그를 사면에서 포위하고 있는 한나라의 군사들이 초나라의 노래를 구슬프게 부르고 있는 것, 절체절명의 세상적인 위기를 말함)에 빠져있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구원의 빛을 던져주고 있습니다(사30:18-33). 둘째, 두려움의 실체가 영적인 것임을 깨닫게 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죄와 사망을 이기고 승리하는 삶의 방법을 ..

이사야 강해 제133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3강(사30:1-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1일(수) 하나님께 여쭈어보지도 아니하고 강대국 애굽을 의지하게 되면 어찌되는가?(사30:1-5) ‘사대주의’(事大主義)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 뜻은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잘 섬겨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사상입니다. 가까운 예를 들어 보자면, 조선이 중국을 상국(上國)으로 잘 섬겼기 때문에 일본군 18만명이 내침을 했을 때에 당시 명 황제의 도움을 받아서 적들을 물리칠 수가 있었다고 하는 사고방식입니다. 실제로, 종주국의 보호를 받아 그 그늘에서 평화를 누리기 위하여 조선은 중국의 황제를 극진히 섬겼습니다. 조선 국왕의 사대주의적인 외교적 노력은 참으로 눈물이 겹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사야 강해 제132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2강(사29:22-24)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20일(화) 선민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역사(사29:22-24) 이사야는 본문에서 선민 이스라엘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구원해주실지에 관하여 예언하고 있습니다. 그 요체는 첫째, 아브라함을 구속하신 하나님께서 똑 같은 방법으로 이스라엘 족속도 구원해주실 것이라는 말입니다(사29:22-23). 둘째, 그것은 야곱이 이스라엘로 거듭나는 것과 같다는 언급입니다(사29:22b-23). 셋째, 구원을 이루기 위하여 거룩하신 하나님, 경외의 하나님, 지혜의 하나님께서 어떻게 역사하시는 지에 대해서도 말해주고 있습니다(사29:23-24). 이제부터 각 구절을 풀이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이사야 강해 제131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1강(사29:17-21)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19일(월) 이방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사29:17-21) 제29장에 들어와서 이사야는 제1-14절에서 선민의 죄와 하나님의 벌을 먼저 기록하고, 이어서 제15-16절에서는 이방인의 죄와 그들에게 내리는 하나님의 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선민의 죄는 한 마디로, 하나님의 축복을 많이 받을 수 있었던 다윗의 처음 마음가짐과 솔로몬의 초심(初心)을 선민들이 잊어버린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시온 성 예루살렘에 천도한 다윗 왕은 모든 전쟁을 오로지 여호와 하나님께 여쭈어보고서 그 지혜를 얻어서 겸손하게 수행했습니다(삼하5:9-12, 19, 23, 7:28-29, 8:..

이사야 강해 제130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30강(사29:15-16)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18일(주일) 행악자(行惡者, 악을 행하는 사람)의 근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한 이사야의 설명(사29:15-16) 성경본문; “(15) 자기의 계획을 여호와께 깊이 숨기려 하는 자들은 화 있을진저. 그들의 일을 어두운 데에서 행하며 이르기를, 누가 우리를 보랴? 누가 우리를 알랴? 하니, (16) 너희의 패역(悖逆, 패륜과 반역)함이 심하도다. 토기장이를 어찌 진흙같이 여기겠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어찌 자기를 지은 이에게 대하여 이르기를, 그가 나를 짓지 아니하였다 하겠으며 빚음을 받은 물건이 자기를 빚은 이에게 대하여 이르기를, 그가 총명(聰明, 밝혀내는 지혜)이 없다 하겠느냐?..

이사야 강해 제129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29강(사29:13-14)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0월 17일(토) 선민들의 죄와 하나님의 벌(사29:13-14) 본문에서 이사야가 동족인 선민들의 죄가 무엇인지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사야가 지적하고 있는 선민들의 죄는 그 당시 다윗 왕조와 유다 왕국 백성들에게 국한이 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세월이 지나 선민의 나라가 망한 후에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대교지도자들과 유다 사람들이 범하고 있는 죄가 이사야 시대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훗날 유다 사회에 오신 메시아가 이사야의 예언인 본문을 인용하여 동일하게 바리새인들을 책망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예수님의 말씀을 복음서에서 찾아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