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상하 주석 47

열왕기하 제25장 주석(요약자; 물빛)

열왕기하 제25장 주석(요약자; 물빛) 성 경: [왕하25:1] 주제1: [유다의 멸망] 주제2: [바벨론의 3차 침입] 󰃨 시드기야 구 년 시월 십 일 - 본서기자는 열왕기서 전체에서 처음으로 년, 월, 일까지 정확히 밝히고 있어 본 사건이 이스라엘 역사에 있어서 최대 위기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렘 39:1과 겔 24:1에서도 이와 같은 의미로 이날짜를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한편 본절에 나타난 시월 십 일이 민간력을 의미하는지, 혹은 태양력을 가리킨 것인지, 그리고 종교력을 사용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다. 그래서 이에 대해 대부분의 영역본은, 즉 KJV, NIV, RSV은 단순히 시월 십일(tenth dah, tenth mo-nth)로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영역본..

열왕기하 제24장 주석(요약자; 물빛)

열왕기하 제24장 주석(요약자; 물빛) 성 경: [왕하24:1] 주제1: [유다의 마지막 왕들] 주제2: [바벨론의 1차 침입] 󰃨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 - '느부갓네살' (*)이란 이름은 바벨론의 신 '느보'(Nebo)의 이름과 결합된 것으로서 '느보여 나의 지계석(地界石)을 지켜주소서'라는 뜻이다(A.van Selms). 한편 여기서 바벨론의 역대기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B.C. 609년경 바벨론 왕 나보폴라살(Nabopolassar)은 서진(西進) 정책을 세우고 메소포타미아 북부 성읍 하란(Haran)을 공격하였는데 애굽의 바로느고가 이 지역을 막고 있어서 하란을 탈취하지 못하고 서쪽 영토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그 뒤 B.C. 605년 경에 나보폴라살의 아들 느부갓네살(Ne-buc..

열왕기하 제23장 주석(요약자; 물빛)

열왕기하 제23장 주석(요약자; 물빛) 번역하기 성 경: [왕하23:1] 주제1: [요시야의 개혁 운동] 주제2: [언약책 낭독] 󰃨 모든 장로를 자기에게로 모으고 - 왕조 시대에 장로들은 어떤 지파의 우두머리이거나 전통이 깊은 가계(家系)의 가장으로서 비록 제한적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정치적 힘을 가지고 있었다(Hobbs). 그래서 어느 한 성이나 나라의 중대사가 있을 때 종종 장로들의 회동(會同)이 있었던 것이다(10:1, 5). 본장 1-3절 강해, '장로가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참조. 한편 본절에서 요시야가 유다 전지역의 장로들을 불러 모은 것은 앞서 성전 수리시 발견된 율법책의 말씀(22:8-11)을 그들과 온 백성에게 들려주기 위함이었다(2절). 성 경: [왕하23:2] 주제1: [요시야..

열왕기하 제22장 주석(요약자; 물빛)

열왕기하 제22장 주석(요약자; 물빛) 성 경: [왕하22:1] 주제1: [요시야의 성전 수리] 주제2: [요시야의 선정(善政)] 󰃨 요시야가 위(位)에 나아갈 때에 나이 팔세라 - 요시야(Josiah)의 부친 아몬은 24세에 죽었다.(21:19, 23). 그러므로 결국 요시야가 태어난 때는 아몬의 16세였던 셈이 된다. 한편 요시야는 유다 최후의 선왕(善王)으로서 31년간 (B.C. 640-609)을 통치하였다. 그는 다윗을 본받아 여호와 신앙에 전념하였는바 죄악으로 더럽혀진 나라를 정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그도 유다를 구원하는 데에는 실패하였으며 그 자신 하나님의 뜻을 묻지 않고 성급히 애굽과의 싸움에 참전하여 전사(戰死)하였으니(23:29, 30) 애석한 일이 아닐수 없다. 󰃨 그 모..

열왕기하 제21장 주석(요약자; 물빛)

열왕기하 제21장 주석(요약자; 물빛) 성 경: [왕하21:1] 주제1: [므낫세와 아몬의 악정(惡政)] 주제2: [므낫세의 우상숭배 행위] 󰃨 므낫세가 위에 나아갈 때에. - 므낫세 (Manasseh)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12세였다. 따라서 므낫세는 히스기야가 15년간의 생명을 연장받게 된 때로부터 제3년째에 태어난 셈이다(20:6). 󰃨 오십 오 년을 치리하니라. - 본절에 기록된 므낫세의 통치 연수(B.C 697-642)는 연대기 계산에 큰 어려움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므낫세부터 예루살렘 멸망(B.C.586)까지 유다왕들의 총 통치 연수는 대략 110년 6개월인바 B.C. 697년부터 계산할 경우 약 20년정도가 더 초과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딜리(Thiele)는 므낫세와 그의 부친 히스기야간에..

열왕기하 제20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열왕기하 제20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히스기야가 중병에 걸린 것은 앗수르가 유다를 1차 침공한 때이다. 이때 그가 눈물로 호소하자 하나님은 그의 생명이 연장될 것을 약속하시면서 그 증표로 해시계의 그림자가 10도 뒤로 물러나는 이적을 보여 주셨다. 그러나 이후 그는 유다와 동맹을 맺고 앗수르를 대항하려 한 바벨론 사절단에게 유다의 부강함을 자랑하였다. 이는 그가 하나님의 은총을 망각하고 그분보다 자신의 군사력을 더 신뢰한 교만한 행위였다. 이사야는 그런 히스기야를 책망하고 훗날 유다가 바벨론에게 멸망당할 것을 예언하였다. 1. 히스기야가 죽음을 준비하라는 기별을 받고 기도하여 생명이 연장됨. 8. 그 약속에 대한 징조로 태양이 10도 뒤로 물러감. 12. 일어난 기적 때문에 히스기야에게 사절을 보낸 ..

열왕기하 제19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열왕기하 제19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앗수르의 침략으로 인해 국가적 위기 상황에 처한 히스기야는 선지자 이사야에게 기도를 요청했을 뿐 아니라 자신도 하나님께 무릎꿇고 기도하였다. 그의 기도의 요지는 하나님이야말로 천지 만물을 주관하시는 분이시니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유다를 구원해 달라는 것이었다. 이는 그가 인간은 구원받을 수 있는 아무런 자격이 없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이 구원의 근거가 됨을 알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하나님은 이같은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어주셔서 앗수르가 결국 퇴각할 것이라는 약속을 해 주셨다. 1. 히스기야가 애곡하며 대신들을 이사야에게 보내 기도를 요청함. 8. 산헤립이 디르하가의 침공에 대항하기 위해 돌아가면서 히스기야에게 하나님을 모독하는 편지를 보냄. 14. 히스기야의 기도..

열왕기하 제18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열왕기하 제18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본장에서부터 마지막 장까지는 히스기야에서 유다 멸망까지의 역사이다. 히스기야는 아하스가 건립한 산당과 각종 우상을 제거하고 정치적으로는 반 앗수르 정책을 펼쳐 나갔다. 본문은 이로 인해 앗수르의 침공을 당한 유다 백성들이 랍사게의 갖은 위협과 설득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동요하지 않고 히스기야와 하나님을 신뢰하였음을 보여 준다. 이처럼 위기 상황 중에서도 하나님만을 의지한 덕분에 유다는 일단 구원받았다. 그러나 히스기야와 요시야 같은 선왕을 제외하고는 왕과 백성들이 함께 계속 행악을 일삼았으니 유다의 마지막 역시 이스라엘과 같은 운명이 되고 말 것이다. 1. 히스기야의 선한 통치. 4. 우상숭배를 타파하여 형통해짐. 9. 사마리아가 자신들의 죄악 때문에 포로로 잡혀감..

열왕기하 제17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열왕기하 제17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북왕국의 멸망 기사이다. 호세아는 앗수르의 후원을 얻어 왕이 되었으나 디글랏 빌레셀이 죽자 그는 앗수르의 지배에서 벗어나려고 애굽과 동맹을 맺었다. 이에 분노한 살만에셀이 이스라엘을 침공, 3여 년 만에 수도 사마리아를 함락시키고 만 것이다. 본문은 이러한 북왕국의 멸망 원인이 우상 숭배 때문이었음을 분명히 지적한다. 한편, 북왕국을 멸망시킨 앗수르는 사마리아에 이민족을 강제 이주시켜 혼혈족을 형성, 앗수르에 대항하는 세력의 근절을 꾀하였다. 이로 인해 생긴 족속이 곧 '사마리아인'으로서 유대인들인 이들 혼혈족을 멸시하였다. 1. 호세아의 악한 통치. 3. 살만에셀에게 정복당한 호세아가 그를 배반하고 애굽 왕 소와 손잡음. 5. 사마리아가 자신의 죄악으로 포로가 ..

열왕기하 제16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열왕기하 제16장 주석(요약자; 이임업) 요담의 뒤를 이은 아하스는 하나님을 떠나 가나안의 모든 우상을 섬김 유다의 가장 악한 왕이었다. 그는 금송아지와 바알, 몰록을 섬기며 성전을 폐쇄하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금하였고, 새로운 산당을 건립하는 죄악을 범하였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하나님의 도우심을 의지하라는 이사야 선지자의 권고를 무시하고 앗수르를 의지하였다. 이 같은 타락상은 북왕국와 다를 바 없는 당시의 시대상을 드러낸 것으로서 유다 역시 스스로 멸망의 길을 걷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1. 아하스의 악한 통치. 5. 르신과 베가에게 공격당한 아하스가 디글랏 빌레셀에게 도움을 요청함. 10. 아하스가 다메섹에 있는 단의 식양을 우리아에게 보내고 놋단은 그의 개인 용도로 전환함. 17. 아하스가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