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라 주석 10

에스라 제10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10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10장 =====10:1 하나님의 전 앞 - 이것은 '성전 마당'을 가리킴이 분명하다(Schultz). 만일 에스라 가 '성소' 안에서 기도를 했다면 백성들이 에스라의 기도 모습을 목도하지 못했을 것 이다. 엎드려 울며 - '엎드려'(* , 미트나펠)는 '쓰러지다' 혹은 '넘어지 다' 등의 뜻을 지닌 동사 '나팔'(* )의 재귀형으로서 극도의 슬픔 때문에 (Davidson) 스스로 자신의 몸을 던지듯 납작하게 엎드리는 행동을 가리킨다(NIV). 또 한 '울며'(* , 바카)는 어떤 비극적 사실로 인하여 '통곡' 혹은 '애곡'하는 것을 가리킨다(창 23:2 ; 삼상 1:10 ; 삼하 1:24 ; 렘 22:10). 따라서 '엎드려 울며' 는 극도의 슬픈 감정..

에스라 주석 2024.03.07

에스라 제9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9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9장 =====9:1 이 일 후에 - 문자적으로는 '이 일들이 마쳐진 후에'이다. 그런데 여기의 '이 일' 은 (1)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가져온 예물들을 성전의 제사장에게 바친 일 및 제사를 드린 일(8:33-35), (2) 에스라가 왕의 조서를 총독에게 보내어 큰 도움을 받은 일 (8:36) 등 모두를 가리킬 것이다. 한편, 에스라를 위시한 귀환민들이 예루살렘에 도착 한 때가 5월이었고(7:9) 에스라가 이스라엘 백성을 그 해 9월 20일에 모으는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그 시간적 공백이 에스라 도착 후 4개월을 넘지 못할 것이다. 방백들(* , 하사림) - 이들이 어떤 신분인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이들이 제사장들과 레위인들, 그리고 ..

에스라 주석 2024.03.03

에스라 제8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8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8장 =====8:1 본장 1절에서 14절까지는 에스라와 함께 귀환한 제2차 귀환민의 수효이다. 이 수효 는 제1차 귀환민의 그것과(2:3-63) 비교하면 불과 1/3 가량에 불과하다(본서 서론, '포로 및 포로 귀환의 역사' 참조). 4-14절에 나오는 가족명들은 '요압 자손'을 제외 하고는 2:3-15에 모두 나온다. 단, 본문의 명단은 두 명의 제사장 명단과 다윗의 후손 이름으로 시작하는 특징을 보여준다(2절). 반면에 2장에서는 제사장 가계가 나중에 언 급된다. 아닥사스다 왕 - 이에 대해서는 4장 주제 강해, '아닥사스다 왕에 대하여'를 참조 하라. 족장(* , 라쉬 아보테이헴). '그들의 조상들의 족 장'이라는 문자적 의미가 있다. 보계(* , ..

에스라 주석 2024.03.02

에스라 제7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7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7장 =====7:1 이 일 - 구체적으로는 성전 완공 및 그에 따른 여러 행사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6 장과 본장 사이에는 약 60년의 기간이 흐른 셈이다. 이러한 공백 기간 중에 있었던 사 건들 중 본서에 기록된 유일한 것은 아하수에로 재위(B.C. 485-464)때의 훼방사건이다 (4:6). 바사 왕 아닥사스다 - B.C. 464년부터 424년까지 왕위에 있었던 페르시아 제6대 왕 이다. 혹자는 이를 B.C. 404-359년에 재위하였던 아닥사스다 2세와 동일시하나, 전통 적인 견해는 아니다. 에스라(* ) - 역대기 상하를 포함한 본서의 저자로서 그 이름의 뜻은 '여호와께서 도우신다'이다. 스라야의 아들 - '스라야'는 '여호와께서 권세를 잡으셨다'..

에스라 주석 2024.03.01

에스라 제6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6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6장 =====6:1 조서를 내려 - 팔레스틴 지역의 페르시아 관리 닷드내의 보고에 대한 다리오 왕의 반응이다. 여기의 '조서'는 문자적으로 '명령'을 의미한다. 서적 곳간...보물을 쌓아둔 곳 - 이는 원문상으로 '보물이 쌓인 서적 곳간'이라 번 역된다. 이것은 중요한 문서들이 보물과 함께 보관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만큼 고대 국 가에서도 문서 보관에 관한 업무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음이 분명하다. 바벨론에서...조사하게 하였더니 - 이것은 다리오 왕이, 페르시아 제국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문서 보관소 중 '바벨론'에 있던 것부터 찾아보도록 명령했었음을 가리킨 다. 페르시아 왕들의 '명령문'이 여러 곳에 나뉘어져 보관되었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그들..

에스라 주석 2024.02.29

에스라 제5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5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5장 =====5:1 선지지들...예언하였더니 - 이 예언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전 재건을 게을리하는 데 대한 질책성의 선포였다. 그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사마리아 사람들의 훼방으로 인하여(4:4, 5) 성전 재건을 중단한 후 대적들의 방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 지 핑계를 대며 그 고귀한 사업을 재개하지 않았었다(학 1:2). 그러나 이 예언 중에는 소망의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학 2:9; 슥 1:17; 2:12; 3:3). 한편 학 1:15 과 슥 8:9에 따르면 성전 재건 사업이 재개된 때는 다리오 왕 2년(B.C. 520년 ) 6월 24일이다. 선지자 학개 - `학개'(* )라는 이름은 `축제의'라는 뜻을 가진다. 추측컨대..

에스라 주석 2024.02.29

에스라 제4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4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4장 =====4:1 앞 장에서는 성전 재건 작업이 시작되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성전은 약20년 후 다리오왕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공된다 (6:15). 이제 본장은 성전 공사가 지연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보여준다. 유다와 베냐민의 대적 - `유다와 베냐민'은 분명히 바벨론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사 람 전체를 가리킨다. 그런데도 저자가 굳이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유다와 베냐 민'이라고 지칭한 까닭은, (1) 그 지파 사람들이 귀환자의 주종을 이뤘으며, (2) 레 위 지파 사람들은 보통 인구 계산할 때도 제외되는 등 특례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상례 였으며, (3) 귀환민들이 주로 거했던 곳이 원래 `유다와 베냐민' 사람들에게 기업으로 주어졌던 땅이..

에스라 주석 2024.02.27

에스라 제3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3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3장 =====3:1 칠월에 이르러...예 살렘에 모인지라 - `7월'은 유대력의 `디스리 월'을 말한다. 보통의 달력으로는 9월 혹은 10월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 `7월'은 말할 나위도 없이 귀환한 그 해의 `칠월'을 가리킨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예루살렘'에 모인 까닭은 모 세 율법의 규정에 따라(레 23:41) 초막절을 지키기 위함이었다. 한편, `모인지라'(* , 예아스푸)는 `모이다' 혹은 `모으다'의 의미를 갖는 `아사프'(* ) 의 수동형으로서, 특별한 일에의 참여를 위하여 한마음이 되어 모여드는 행위를 가리 킬 때 사용되는 단어어다(9:4; 삿 20:11; 대하 30:13). `일제히'는 문자적으로 `한 사람처럼'의 의미이다. =====3:..

에스라 주석 2024.02.25

에스라 제2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2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2장 본장과 1장 과의 문맥 연결은 다소 어색하다 - 왜냐하면 1장에서는 고레스가 성전 기명들을 세스바살에게 넘긴 사실이 기록된 반면에(1:8) 본장 초두에는 스룹바벨의 인 도 하에 포로민들이 귀환하는 장면이 언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점은 스룹바벨과 세스바살을 동일인로 본다면 쉽게 해결된다(1:8 주석 참조). 사로잡혀 바벨론으로 갔던 자 - 유다 사람들은 세 차례, 즉 B.C. 605년과 597년 그 리고 586년에 바벨론으로 끌려갔다. 그때 그곳으로 끌려갔던 사람들은 대부분 왕족 및 귀족 그리고 제사장 계급 혹은 기술자 등이었다(왕하 24:14; 25:6, 7; 단 1:3). 자손 중에서 - 이것은 바벨론에 살던 유대인들 모두가 돌아오지는 아니했음을..

에스라 주석 2024.02.23

에스라 제1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1장 주석(요약자; 강야곱) 에스라 제 1장 =====1:1 개역 성경에는 번역되어 있지 않았지만 - 본절 초두(初頭)에는 `그리고'라는 뜻의 `우'(* )가 있다. 이는 본서가 역대기를 쓴 동일 저자에 의하여 기록 되었음을 암시 해준다(W. Rudolph). 바사왕 고레스 - `바사'는 B.C. 3000년 경까지는 셈족 계통의 엘람 사람들이 국민 의 주종을 이뤘던 나라이다. 하지만 B.C. 2000년경 이후로는, 남부 러시아의 스탭 지 역과 인더스강 서쪽에서 이동해 온 아리안족에 의하여 지배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이 나라의 명칭은 이란이며 이 같은 국명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레자 샤 팔레비'(1 925-1941)에 의해서였다. `고레스'는 동부 엘람의 소국(小國)인 안산(Anshan)의 ..

에스라 주석 2024.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