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OBS교재(손진길 작성) 62

출애굽기 제22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22과(12:8-20) (손진길 작성) [Q1] 마지막 재앙의 특징은 무엇인가? · 하나님의 백성을 노예살이 시키던 세상권세가 깨어지는 것이 마지막 재앙을 맞이한 때임. 그 마지막 재앙의 모습은 5가지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 첫째로, 장자의 죽음이 예언되고(출4:23, 11:5) 실현됨(출12:29-30). 둘째로, 바로 왕에게 모세는 두려운 존재 곧 신이 됨(출7:1, 11:3). 셋째, 부디 출애굽 해달라고 바로가 오히려 부탁하게 됨(6:1, 11:1,8). 넷째, 유월절 어린양의 피로 심판을 면제받은 히브리 인들이(12:7,13,22-23) 애굽 인의 은, 금, 패물을 당당하게 얻게 됨(창15:14, 출3:22, 11:2, 12:35-36). · 끝으로, 출애굽을 하게 된 하나님의 백성 ..

출애굽기 제21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21과(11:1-12:7) (손진길 작성) [Q1] 지금까지 자신의 동족을 출애굽시켜줄 것을 바로 왕에게 사정한 바 있는 모세에게 반대로 바로와 그 신하들이 부디 히브리 인들을 이끌고 애굽을 떠나달라고 사정하게 되는 완벽한 국면전환(局面轉換, big change of situation)의 이유와 진행과정은 어떠한가? · 지금까지 모세와 아론을 통하여 자신의 의지를 전해오던 여호와께서 마지막 수단을 남겨두고서는 직접 손을 쓰고 계시기 때문임(출11:4). 하나님께서 직접 나서시는 것은 재앙이 아니라 심판의 의미이므로 선별적 죽음과(출11:5) 구원이(출11:7) 뒤따르게 됨. · 그 결과 애굽 제국의 통치자 바로가 그 동안 누리고 있었던 ① 현인신의 지위도, 인간의 불멸의 시나리오도, 역사의 영..

출애굽기 제20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20과(10:21-29) (손진길 작성) [Q1] 캄캄한 흑암이 재앙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서로 볼 수 없게 되고 일어나서 일할 수 없게 되고 광명이 사라졌기 때문임(10:23). 풀이해보면, ① 시력의 상실. ② 노동력의 상실. ③ 빛의 에너지 상실이 바로 흑암 재앙의 두려움임을 알 수 있음. [Q2] 볼 수 있는 능력의 상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시각의 상실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장애가 한꺼번에 나타나고 있음; 첫째로,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세상을 볼 수 없게 됨(창1:4,10,12,18,21,25,31, 일곱 차례 완전수로 격찬한 자연과 인간의 아름다움). 둘째로, 식욕과 성취 욕구를 더해주는 시각적인 미적 감각이 사라짐(창3:6). 셋째로, 이성이 주는 아름다움, 그..

출애굽기 제19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9과(10:1-20) (손진길 작성) [Q1] 천둥, 번개, 우박, 벼락 등 하늘로부터 오는 재앙과 재해를 당하면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여전히 반항하는 바로와 애굽귀족들의 마음을(출9:30, 34) 굴복시키는 하나님의 마지막 수단 3가지는 무엇인가? · 하나님의 ‘표징’(signs)으로 불려지기 시작하는(출10:1-2) 메뚜기 재앙(10:4-5), 흑암 재앙(10:21-22) 그리고 장자의 죽음임(11:5). 우박의 피해에서 살아남은 농작물과 유실수(有實樹, 과일나무)의 열매를 남김없이 먹어 치워버리는 것이 메뚜기 떼들임(10:5, 15). · 그리고 3일 동안 지상에서 빛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드는 것이 흑암의 재앙임(10:22). 끝으로, 다음세대의 지도자가 되는 장자뿐 아니라 ..

출애굽기 제18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8과(9:13-35) (손진길 작성) [Q1] 요셉 사후(死後) 360년 만에 처음으로 하나님을 직접 만난 바 있는 모세가 전하는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을 생전 처음 듣고 그 이적까지 본 바 있는 히브리 인들과 애굽 인들의 반응은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출애굽기 제4장에서 이미 예언된 바와 같이 히브리 인들은(4:1) 지팡이 뱀(4:3), 문둥병 발생의(4:6) 이적을 본 후 거의 믿게 됨(4:8). 강퍅한 자라도 핏물이적(4:9)까지 본 후에는 모두 믿게 됨(4:30-31). 그러나 바로 왕으로 대표되는 애굽 인들은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 이적으로 그 나라를 친 후에야(3:20), 구체적으로 마지막 장자의 죽음에 이르러서야(4:23) 비로소 하나님의 출애굽 명령을 ..

출애굽기 제17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7과(9:1-12) (손진길 작성) [Q1] 여호와께서 바로에게 자신을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여호와”로 정의하시고 이스라엘 민족을 “내 백성”(9:1)으로 표현하시는 의미는 무엇인가? · 히브리 사람이란 말은 본래 “유브라데 강을 건너온 자”라는 뜻으로 인류 최초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가지고 서진한 셈족 디아스포라를 일컫는 말이라고 볼 수 있음. 그 점은 가나안 원주민인 아모리 족속들이 헤브론에 이주한 아브람을 부를 때(창14:13) 또는 애굽 인들이 이방인으로서 종이 된 요셉을 부르거나(창39:14),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의 형제들을(창43:32) 구별하여 부를 때 “히브리 사람”이라고 지칭한 데서 알 수 있음. · 그런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구별되는 또 하나의 고대 선진문명을 이루고 있..

출애굽기 제16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6과(8:20-32) (손진길 작성) [Q1] 제4차 재앙으로 등장하는 파리 떼는(출8:21) 이전 재앙인 핏물, 개구리 떼, ‘이’(louse) 등과 비교할 때 무엇이 다른가? · 첫째로, 그 활동범위가 발생지역에 어느 정도 한정되는 ‘핏물’(하수가 또는 물가, 출7:19), 개구리 떼(나일 강변, 출8:3), ‘이’(사람과 생축 등 숙주에만 기생함, 출8:17)들과는 달리 파리 떼는 날개가 있어 기동성이 있으며 활동범위를 제한하기가 어려움. 둘째로, 전염성이 별로 크지 않은 이전 재앙들(핏물, 개구리 떼, 이)과 비교할 때 파리 떼는 병균전염성(특히 식중독발생)이 높은 것임. · 그러므로 파리 떼 피해를 방지하자면 다음의 조치가 필요함; ① 더러운 주변 환경을 깨끗이 소독해야 함. ② 음..

출애굽기 제15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5과(8:16-19) (손진길 작성) [Q1] 모세가 바로 앞에서 행한 첫 번째 이적인 뱀(7:10), 두 번째 재앙인 개구리(8:5-6)와 비교할 때 여기서 나타나는 세 번째 재앙인 ‘이’(lice. 출8:16-17)는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가? · 첫째로, 두 번째 재앙인 개구리는 강물에서 생겼으나(출8:5) 세 번째 재앙인 ‘이’는 땅에서 생겼음(8:16). 둘째로, 피해의 정도가 개구리는 안면과 식사를 방해하는 정도였으나(8:3,4) ‘이’는 사람과 생축(生畜, 살아있는 가축)에게 옮겨 붙어 직접 물고 괴롭히는 존재(8:17, an itching and biting tiny animal)였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셋째로, 개구리재앙 때는 바로가 거짓항복이라도 하였으나 (출8:8,..

출애굽기 제14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4과(8:1-15) (손진길 작성) [Q1] 농경사회에서 개구리나(출8:2) 메뚜기의(출10:4) 의미는 무엇인가? · 모든 농작물은 물을 마시고 살고 있으며 일부 곤충류는 농작물인 식물 위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음. 그래서 농경사회는 강 유역에서 형성되며 양서류인 개구리가(출8:2) 농민에게는 물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음. · 고대 애굽 인들이 나일강과 물의 전령인 개구리를 신성시한 것은 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음. 또한 풍요의 상징인 메뚜기는(출10:4) 오늘날 “깨끗한 자연환경”을, 특히 농약 없는 무공해 농촌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Q2] 그와 같이 자연계의 혜택과 그 깨끗한 이미지를 상징하는 것들이 인간에게 재앙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하나님의 백성을 탄압하..

출애굽기 제13과(손진길 작성)

출애굽기 제13과(7:6-25) (손진길 작성) [Q1] “나는 입이 둔한 자니이다”(6:12,30)라는 변명으로 하나님의 명령을 수행하기를 주저하였던 모세와 아론이 드디어 여호와의 명령을 100% 신뢰하면서 꼭 그대로 행할 수 있게 된(7:6) 이유는 무엇인가? · 여호와의 예언 속에서(7:1-4) 여호와의 진심(7:5)을 보았기 때문으로 판단됨. 이스라엘 자손의 해방자, 이스라엘 민족의 하나님 여호와의(6:7) 일방적 역사만으로는 바로와 애굽 민족의 반발을(5:18,21) 초래하여 모세와 아론의(하나님의 사람) 입장이 이스라엘 백성과 애굽 백성 양쪽에서 비난과 공격을 받는 샌드위치, 샌드백의 형편이 된 것임(6:9,12,29-30, 5:4). 보람 없는 희생, 비난과 원망만 듣게 되는 과업, 빛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