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328

이사야 강해 제98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8강(사22:8-11)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7일(목) 환상의 골짜기의 세 번째 교훈; 하나님을 배제한 전쟁의 준비(사22:8-11)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는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여호와 하나님을 만나고 선지자로 세움을 받은 사람입니다(사6:1-8). 그는 당시 참으로 이상한 계시의 말씀을 위탁 받게 됩니다; “너희가 듣기는 들어도 깨닫지 못할 것이요, 보기는 보아도 알지 못하리라 하여 이 백성의 마음을 둔하게 하며, 그들의 귀가 막히고 그들의 눈이 감기게 하라. 염려하건대 그들이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 깨닫고 다시 돌아와 고침을 받을까 하노라 하시기로, 내가 이르되 주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하였더니 주께서 대답하시되,..

이사야 강해 제97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7강(사22:5-7)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6일(수) 환상의 골짜기의 두 번째 교훈; 전쟁의 유혹에 물드는 예루살렘(사22:5-7) 제사장나라 이스라엘을 창건한 자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은 모세입니다. 그는 백 년 이상 애굽 제국에서 노예와 같은 중노동의 삶을 영위하고 있던 이스라엘 자손들을 하나님의 능력으로 해방을 시켰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지시하신 산으로 그들을 인도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율법으로 전함으로써 제사장나라를 출범시킨 주인공입니다(출3:12, 19:1-8). 따라서 선민의 나라 이스라엘의 ‘국부’(國父, 나라의 아버지)라고 부를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구약의 역사에서 가장 명예스러운 인생을 살다간 모세입니다. 그런..

이사야 강해 제96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6강(사22:1-4)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5일(화) 환상의 골짜기의 첫 번째 교훈; 죽음에 이르는 도망과 패망과 결박(사22:1-4) 이사야는 다윗 왕조 유다 왕국의 사람이며 동족인 선민들에게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전하도록 선택을 받은 선지자입니다(사1:1, 2:1, 6:1, 8-9). 하나님이 특별히 이사야를 선택하여 선민들에게 예언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로 세운 이유는 그가 동족을 사랑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사6:10-11a). 겉으로 보면, 하나님의 말씀은 선민들의 불신앙과 잘못을 날카롭게 지적하면서 그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하나님의 분노와 처벌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사6:11b-13a).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

이사야 강해 제95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5강(사21:11-17)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4일(월) 두마와 아라비아에 대한 이사야의 경고(사21:11-17) 창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두마’(사21:11)는 본래 이스마엘의 열두 아들 가운데 중간에 있는 여섯 번째 아들의 이름입니다(창25:14). 그리고 이스마엘 자손들의 거주지는 대체로 요르단 남쪽과 사우디 아라비아 북쪽입니다; “그 자손들은 하윌라(아라비아)에서부터 앗수르(수도가 티크리스 강 상류의 니느웨임)로 통하는 애굽 앞 술(수르 광야)까지 이르러 그 모든 형제(이스라엘 자손)의 맞은 편에 거주하였더라”(창25:18). 두마로 대표가 되고 있는 이스마엘 자손들이 이사야 예언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두 가지로 ..

이사야 강해 제94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4강(사21:1-10)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3일(주일) 이사야의 바벨론 멸망에 관한 묵시가 세상의 종말을 예고하다(사21:1-10) 본문에서 이사야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시관(時觀, view of time)을 가지고 예언을 하고 있습니다; 첫째가 다윗 왕조 유다 왕국에 닥치고 있는 멸망에 대한 예언입니다. 그 내용은 그가 “해변 광야에 관한 경고”(사21:1)라고 부르고 있는 것입니다. 둘째가 제사장나라를 멸망시킨 신바벨론 제국의 멸망을 예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을 이사야는 “혹독한 묵시”(사21:2)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셋째가 바벨론과 같은 약육강식의 세상이 종말을 고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이사야는 “하나님의 ..

이사야 강해 제93강(요약자; 예수사랑)

이사야 강해 제93강(사19:23-20:6)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2일(토)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백성들에게 들려주시는 예언의 두려움과 보여주시는 예표의 두려움에 대하여(사19:23-20:6) 하나님께서는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를 선지자로 세우시고 백성들에게 전하고자 하시는 말씀을 위탁하셨습니다(사1:1, 2:1, 6:1-12). 그런데 그 말씀은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째가 ‘예언’(豫言)의 말씀입니다. 둘째가 ‘예표’(豫表)의 말씀입니다. 예언은 하나님께서 섭리하시는 미래 곧 역사의 방향성을 미리 말해주는 것입니다. 예표는 그것을 선지자의 특이한 삶의 모습을 통하여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그 사실을 정확하게 이사야는 다음과..

이사야 강해 제92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2강(사19:22-2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1일(금) 이사야의 시대를 감안할 때 장차 세상에 하나님의 복을 전하는 세 나라 이스라엘, 앗수르, 애굽의 의미는 무엇인가?(사19:22-25) 사람은 한 평생 세상을 보고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것이 각자의 인생입니다. 그런데 사람이 평생 동안 볼 수 있는 것과 느낄 수 있는 것은 어느 정도일까요? 그 점과 관련하여 하나님은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에게 일찍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롯이 아브람을 떠난 후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눈을 들어 너 있는 곳에서 북쪽과 남쪽 그리고 동쪽과 서쪽을 바라보라. 보이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영원히 이르리..

이사야 강해 제91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1강(사19:16-2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10일(목) 이사야가 이방나라의 상징으로 보고 있는 애굽 제국이 하나님께 돌아오는 이유(사19:16-22) 선민사상을 강조하고 있는 유대교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방나라의 대표격인 애굽 제국은 멸망의 대상입니다. 그 옛날 선민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처럼 부려먹었으니 애굽 제국의 앞날이 온전할 리가 없습니다. 그들은 징계의 대상이며 하나님의 분노로 결국 망하고 말 것입니다. 그런데 이사야는 본문에서 전혀 새로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애굽 제국이 회개를 하고 먼 훗날 여호와 하나님께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창조주 하나님의 역사섭리의 방향성이라는 예언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과..

이사야 강해 제90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90강(사19:11-1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9일(수) 애굽 제국을 치시는 여호와의 세 번째 징계의 내용(사19:11-15) 애굽 제국을 편의상 남북으로 갈라본다면, 대체로 남쪽이 ‘상 이집트’이고 북쪽이 ‘하 이집트’에 해당합니다; 애굽 제국의 젖줄인 나일 강이 남쪽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려 북단 지중해로 들어가고 있으므로 자연히 나일강 상류와 중류가 상 이집트이고 하류와 삼각주 지역이 하 이집트입니다. 그리고 중심도시로 보면, 하 이집트의 수도가 ‘멤피스’이고 상 이집트의 수도가 ‘테베’입니다. 고대문명이 나일 강 하류 삼각주 지역에서 먼저 꽃이 피었으므로 애굽 문명의 시작이 북쪽이고 하 이집트에 자리잡고 있는 ‘멤피스’가..

이사야 강해 제89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89강(사19:5-10)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9월 8일(화) 애굽 제국을 치시는 여호와의 두 번째 징계의 내용(사19:5-10) 이사야는 총 32개의 왕조를 이루며 수천 년간 계속이 된 ‘애굽 제국’(帝國, empire)을 이방나라의 상징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사야는 제14장에서 바벨론 제국에 대하여 하나님을 대적하고 있는 사탄의 하수인으로 간주한 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이제 제19장에서 애굽 제국에 대하여 하나님을 무시하고 우상을 섬기며 제멋대로 살아가고 있는 대표적인 이방인들의 제국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애굽 제국이야말로 제국이 분열이 된 시기 곧 ‘중간기’(中間期, interim period)가 몇 차례 있기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