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OBS교재(손진길 작성) 52

요한복음 제 22과(6:16-33)(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22과(6:16-33)(손진길 작성) |OBS20-22| Q1. 예수님은 구약 시대 하나님이 보여주신 큰 기적 하나를 자신도 제자들에게 조용히 보여주고 계시는데 그것은 무엇인가? Ø 구약 시대 하나님께서 홍해 바다를 가르시고 또한 요단 강물을 갈라 세워서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과 그 자손들이 이를 땅처럼 건널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신 바 있슴(출14:21-22, 수3:15-17). Ø 예수님은 잔잔한 갈릴리 호수가 날이 어두워지자 광풍이 일고 바다처럼 사나와 졌을 때 그 물위를 십여리나 걸어 오셔서 제자들이 힘들게 노저어가는 배에 직접 오르셨으며(6;16-21) 그 때 바람조차 숨을 죽였슴(마14:32). Ø 일찌기 광풍을 꾸짖어 갈릴리 호수를 잔잔하게 만드신 바 있는 예수님이(막4:39) 이..

요한복음 제 21과(6:1-15)(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21과(6:1-15)(손진길 작성) |OBS20-21| Q1. 제6장의 내용이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중 3년째의 기사 내용임을 짐작하게 해주는 대목은 어디인가? Ø “마침 유대 인의 명절인 유월절이 가까운지라”(6:4)라는 대목인 것임. Ø 첫 번째 유월절에는 예수님과 제자들이 예루살렘 성전을 방문하여 성전 청결에 나섰슴(2:13-17). Ø 두 번째 유월절에는 예루살렘 성전을 방문하면서(5:1-2) 베데스다 연못가에서 38년된 병자를 고쳐주었으며 유대 인들과 안식일 논쟁에 휘말리게 된 바 있슴(5:10,16). Ø 이제 세 번째 유월절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예수님과 제자들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지 아니하였슴. 유대 인들의 반대와 핍박을 무릅쓸 이유가 아직은 없었기 때문임. 그래서 갈릴리 지방에서..

요한복음 제 20과(5:31-47)(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20과(5:31-47)(손진길 작성) |OBS20-20| Q1. 엄청난 네 가지 진리를 설파하신 예수님은(5:19-30) 이것이 진실임을 증명하는 증인으로서 누구를 공증인으로 세우고 계시는가? Ø 하나님 아버지를 공증인으로 세우고 계시는 것임(5:37). Ø 하나님이 공증하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방법으로서 ① 하나님이 세례 요한을 먼저 보내어 구주 예수를 소개한 일(1:6, 5:33-35) ② 하나님이 함께 하시지 아니하시면 결코 행할 수 없는 이적들(5:36, 3:2) ③ 기록된 성경 말씀의 성취(5:39, 눅24:44) 등을 들 수 있슴. …………………………………………………………………………………………………………………………………………………………………………………………………………………………..

요한복음 제 19과(5:17-30)(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9과(5:17-30)(손진길 작성) |OBS20-19| Q1.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데 그 이름이 예수이며(1:14) 그 영광은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고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였다는(1:17) 사도 요한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주님의 말씀이 요한복음 제5장 17-47절에서 압축되어 있는 바 이 말씀이 나타나는 계기는 어떻게 조성되어지고 있는가? Ø 안식일 날 예루살렘 성전 양문 곁 베데스다 연못가 회랑에서 38년된 병자를 고쳐주자마자 안식일 율법을 어겼다는 시비가 벌어졌슴(5:10). Ø 아버지 하나님에 이어서 이제는 성육신하신 독생자가 일하신다는 주님의 말씀에(5:17) 유대 인들이 발끈하여 ‘하나님 모독죄’를 언급하기 시작하고 있슴(5:18). Ø 그렇다면 사도 요한..

요한복음 제 18과(5:1-16)(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8과(5:1-16)(손진길 작성) |OBS20-18| Q1. 사도 요한은 예수님의 행적을 기록하면서 때와 장소를 명기하고 이를 나누는 기준으로서 유월절 명절을 사용하고 있는데(5:1) 이와 같은 구분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Ø 첫째로, 유월절이 봄의 절기로서 4월에 해당되지만 이 달을 당시 유대 인들은 새해 첫 달이 되게하고 있었으므로(출12:2) 사도 요한이 새해 첫 기록을 유월절에서부터 시작하고 있는 것임. Ø 둘째로, 유월절이 가까와 오면, 경건한 유대 인들이 절기를 지키고자(눅2:41) 예루살렘으로 방문했기 때문에 갈릴리에서 예루살렘으로, 그리고 예루살렘에서 고향 갈릴리로 되돌아 가는 예수님의 행적이 동선(動線)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임. 이와 같이 기록하면 때와 장소의 구..

요한복음 제 17과(4:39-54)(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7과(4:39-54)(손진길 작성) |OBS20-17| Q1. 사마리아 땅 수가 동네 사람들이(4:5,39) 예수를 믿게 된 3단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Ø 첫 번째 단계는 우물가에서 메시야를 만난 수가 성 여인의 증언이 있었기 때문임(4:39). 두 번째 단계는 이틀간 그 동네에 머무시면서 말씀을 가르쳐 주신 예수님으로부터 직접 말씀을 듣고 배웠기 때문임(4:40-41). 세 번째 단계는 그들에게 직접 말씀을 듣는 귀가 열리고 예수님을 참으로 세상의 구주신 줄 알게되는 안목이 생겨서(눈이 열려서) 이를 입으로 고백했기 때문임(4:42). Ø 요컨대, ① 전도를 받아 교회에 출석하는 단계 ② 말씀속에서 예수님을 발견하는 단계 ③ 구주로 고백하고 그분을 모시고 삶을 살아가는 단계 등으로..

요한복음 제 16과(4:28-38)(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6과(4:28-38)(손진길 작성) |OBS20-16| Q1.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인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Ø 그리스도(히브리어로는 ‘메시야’)만이 “나의 행한 모든 일을 내게 말해줄 수 있는데”(4:29) 예수님이 바로 그와 같이 행하셨기 때문임. Ø 평생을 살아 오면서 사마리아 여인은 자신이 희구한 모든 것, 자신이 알고 싶어했던 모든 것, 그와 같은 깊은 욕구(desire)를 가슴속에만 간직한 채 (삶의 본질에서 소외되어) 여전히 삶의 질곡(생존의 어려움) 가운데 계속 허덕일 수 밖에 없었던 인생 역정을 가지고 있었슴. 그런데 예수님을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 사이에 자신의 전력과 ‘하나님을 만나고 싶어하는 인간 실존의 창조물로서의 가장 깊은 욕구’(the de..

요한복음 제 15과(4:24-27)(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5과(4:24-27)(손진길 작성) |OBS20-15| Q1. 본래는 선민 이스라엘의 자손이었으나 이제는 이방 인들과 하나되어 살고 있는 사마리아 인들의 땅에서 그들의 대표성을 한 몸에 짊어지고 있는 수가 성 여인을 향하여 주님은 이방 인에게 최초의 복음을 전해주고 있는데 그 내용의 핵심은 어떻게 정리 요약할 수 있는가? Ø 크게 보아 다음 네 가지임; ① 역사적인 세상 5대 제국의 시대가 지나고 하나님 나라가 도래한 것(4:16-18) ② 참된 성전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개념(4:19-21) ③ 하나님이 찾으시는 참된 예배자의 조건(4:22-24) ④ 메시야인 그리스도가 이제 이 땅에 찾아 오셨다는 기쁜 소식(4:25-26) 등임. …………………………………………………………………………………..

요한복음 제 14과(4:1-23)(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4과(4:1-23)(손진길 작성) |OBS20-14| Q1. 예수님께서 세례 요한보다 더 많은 사람에게 세례를 줄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Ø 제자들에게 위임하여 세례를 줄 수 있도록 제도화했기 때문에(4:2) 요한의 경우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베풀어 줄 수 있었던 것임(4:1). Ø 세례를 줄 수 있는 권한은 세례 요한과 같은 선지자의 권한에 속하는 것인데 이 점을 알고 있는 예수님이 과감하게 제자들에게 그 권한을 위임시켜 주셨다고 하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임. 이는 유대교 전통과 당시의 종교적 권위주의라는 시대 정신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며 더구나 세례를 줄 수 있는 권한 뿐 아니라 병을 고치며 귀신을 쫓아내고 복음을 전하는 모든 권한을 포괄..

요한복음 제 13과(3:22-36)(손진길 작성)

요한복음 제 13과(3:22-36)(손진길 작성) |OBS20-13| Q1. 공생애 첫 해 유월절을 예루살렘에서 지내신 예수님은 성전 정화와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마치신 후 유대 땅 여러 지방으로 떠나심(3:22). 이 때부터 유대 지역에서 예수님이 세례를 베풀기 시작하셨는데 이 일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가? Ø 예루살렘 가까운 샘터(3:23, 샘물이 많은 곳, 애논)에서 회개하는 유대 인들에게 물 세례를 흡족하게 주고 있던 세례 요한의 세례와 예수님의 세례 사이에 어느 것이 더 권위있는 것인지 시비가 생김(3:25-26). Ø 물이 귀한 유대 땅에서 예수님은 세례 요한처럼 샘물가에서 많은 물을 사용하여 침례를 베푸신 것같지는 아니함. 그렇다면, 이 문제는 침례와 약식 세례 사이의 문제일 수도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