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298

창세기 강해 제238강(창42:5-8)(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8강(창42:5-8)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20일(목) 요셉의 형들이 그 앞에서 땅에 엎드려 절하매(창42:6), 마침내 22년 만에 실현이 되고 있는 요셉의 첫 번째 꿈(창37:6-8)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인생 가운데 반드시 만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원수입니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죽어서 청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살아서 생전에 청산이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고 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만약 피해자를 죽여버린 가해자의 경우에는 어떻게 그 무죄한 자의 피가 복수를 할 수 있는 것일까요? 창세기 제4장에서 이미 그 대답을 하고 있습니다; “카인이 그의 아우 아벨에게 말하고 그들이 들에 있을 때에 카인이 ..

창세기 강해 제237강(창42:1-4)(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7강(창42:1-4)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9일(수) 야곱의 눈에 보이는 애굽의 양식들(창42:1-2), 그리고 요셉의 이복 형 열명이 모두 양식을 사려고 애굽으로 간 이유(창42:3). 애굽에만 7년 풍년이 찾아온 것이 아닙니다. 그 이웃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찾아오는 연속 흉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애굽에는 곡식을 저장해놓고 있었고 주변국들은 그 정책을 추진하지 아니했습니다. 그 결과 각국 백성들이 곡식을 사려고 애굽으로 몰려들고 있습니다(창41:54-57). 이제 그들에게 곡식을 팔지 아니할지는 애굽의 총리인 요셉의 소관입니다. 한 마디로, 양식을 사려는 자는 누구든지 요셉 앞으로 나아와야만 하는 시대가 된..

창세기 강해 제236강(창41:53-57)(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6강(창41:53-57)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9일(수) 각국에는 기근이 있으나 애굽 온 땅에는 먹을 것이 있더니(창41:53-54) 출애굽기를 보면, 애굽은 세상나라의 상징으로 등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시켜서 애굽에서 노예생활을 하고 있던 이스라엘의 자손들을 하나님의 산 호렙으로 이끌어내십니다(출3:12, 19:1-6). 그런데 본문에서는 정반대입니다. 세상의 여러 나라에는 기근이 있으나 애굽에는 먹을 양식이 쌓여 있습니다(창41:54). 그러므로 흉년을 맞이하고 있는 각국의 백성들은 애굽에 가서 먹을 양식을 사와야만 합니다(창41:57). 그와 같은 모습은 한 가지 사실을 연상하게 해줍니다. 이 땅에는 말..

창세기 강해 제235강(창41:50-52)(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5강(창41:50-52)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8일(화) 요셉의 가정생활과 첫 아들 므낫세의 탄생(창41:50-51) 요셉에게 하나님의 은혜가 함께하고 있습니다(창39:2-3). 그 이유는 요셉이 만민의 생명을 구하는 도구로 쓰임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창45:5, 7-8, 50:20). 하나님 아버지의 뜻이 무엇인지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생애를 통하여 정확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요3:17),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은 내게 주신 자 중에 내가 하나도 잃어버리지 아니하고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는 이것이니라”(..

창세기 강해 제234강(창41:46-49)(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4강(창41:46-49)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7일(월) 30세에 애굽의 총리가 되고 있는 요셉(창41:46)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은 75세에 아비 데라의 집을 떠나서 독자적인 믿음의 길을 나서고 있습니다(창12:4). 약속의 아들인 이삭은 40세에 리브가와 결혼을 하고서 독자적인 믿음의 가정을 꾸리고 있습니다(창25:20). 그런데 창세기는 이삭의 아들인 야곱의 인생과 그의 아들인 요셉의 인생에 대하여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들은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운명을 개척한 대표적인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첫째로, 야곱은 비록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하나님의 예언의 말씀 그대로 영적인 장자가 되고 있습니다(창..

창세기 강해 제233강(창41:41-45)(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3강(창41:41-45)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7일(월) 히브리 청년 요셉을 갑자기 애굽 제국의 수석총리로 만들고 있는 바로의 속셈(창41:37-41) 애굽 제국의 황제인 바로에 대하여 역사학자들이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요셉을 수석총리로 발탁한 바로는 제12왕조(BC 1991-1782)의 4번째 황제였던 세누스레트2세입니다. 그 이유는 그의 통치기간(BC 1897-1878) 중인 BC 1885년에 요셉이 전국을 총괄하는 수석총리로 발탁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창41:41). 참고로, 제12왕조는 애굽 제국을 성립시키며 통일왕조를 이루었던 테베출신의 중왕국시대 제11왕조(BC 2040-1992)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12..

창세기 강해 제232강(창41:33-40)(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2강(창41:33-40)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6일(주일새벽) 7년 풍년 후에 닥치는 7년 흉년에 대한 대비책을 요셉이 말하다(창41:33-36) 요셉은 옥중에서 풀려 나오자 바로 앞에 서게 됩니다(창41:14). 그리고 바로의 꿈 이야기를 듣고 나서 해몽을 합니다(창41:15-32). 요셉의 해석은 하나님의 영의 감동을 받은 것입니다(창41:38). 애초에 그 꿈은 하나님이 바로에게 넣어준 것입니다(창41:25). 이제 하나님이 그 꿈의 해석을 요셉에게 지혜로써 알려준 것이니 그것은 정확한 해몽일 수밖에 없습니다. 요셉은 애굽 제국의 황제인 바로의 기이한 꿈을 확실하게 해석을 해주었으니 큰 공을 세운 것입니다. 그는 더 이상 종살이..

창세기 강해 제231강(창41:17-32)(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1강(창41:17-32)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5일(토) 바로가 요셉에게 설명하고 있는 자신의 꿈 이야기의 특징(창41:17-24) 사람의 기억력은 어떻게 보전이 되고 있는 것일까요? 첫째, 딱딱한 법률이나 문법보다는 이야기 형식으로 기억을 하려고 합니다. 그것이 더 오래 기억이 보전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이야기 가운데에서도 특징적이고 인상적인 것이 더 강하게 기억이 되고 있습니다. 사소한 것들은 오래 기억이 되지 못하거나 인상적인 것을 풀이하는데 동원이 될 따름입니다. 셋째, 평소 당사자의 관심이 많은 쪽으로 기억이 재구성이 되기 쉽습니다. 처음의 기억이 어느 순간에 자기도 모르게 그렇게 관심이 많은 쪽이 우선이 되어서 ..

창세기 강해 제230강(창41:14-16)(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30강(창41:14-16)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4일(금) 30세의 죄수 요셉이 바로 앞에 서기 위한 절차(창41:14) 애굽 제국의 황제인 바로가 사람을 보내어 옥살이를 하고 있는 요셉을 황궁으로 부르고 있습니다(창41:14a). 황명이 전달되자 세 가지 조치가 요셉에게 취해지고 있습니다; 첫째, 급히 그를 옥에서 내어 놓고 있습니다(창41:14b). 둘째, 요셉이 곧 수염을 깎고 있습니다(창41:14c). 셋째, 요셉이 그의 옷을 갈아 입고서 입궐을 하고 있습니다(창41:14d). 모세가 본문을 쓰면서 굉장히 세밀하게 묘사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있습니다. 그냥 간단하게 한 줄로 적으면 될 내용입니다. “바로가 부르자 요셉이 황..

창세기 강해 제229강(창41:8-14)(작성자; 손진길 목사)

창세기 강해 제229강(창41:8-14) 작성자; 손진길 목사(갈릴리한인교회 담임) 작성일; 주후 2014년 3월 13일(목) 애굽의 점술가와 현인(賢人, 지혜자)들이 모두 바로의 꿈을 해석할 수 없는 이유(창41:8) 세상에는 두 가지의 세계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의식할 수 있는 세계가 있으며 의식을 할 수 없는 세계가 있습니다”. 사람이 의식을 한다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감각기관을 통하여 감지가 되어오는 정보를 두뇌가 식별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차적으로는 경험이나 자료를 통하여 얻은 지식을 체계화함으로써 감각기관이 미처 감지하지 못한 것을 다시 식별하여 보완하는 것입니다. 그 가운데에는 자율신경에 의하여 움직이고 있는 기관에 대한 정보도 포함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보완을 하고 있음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