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의 기도(손진길 소설) 54

다윗의 기도34(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34(작성자; 손진길) 다윗왕은 국력을 기울인 블레셋의 2차례의 침공을 물리치자 예루살렘의 다윗성에서 깊은 생각에 잠긴다.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천도한지 얼마 되지 아니한 시점이다. 다윗왕이 중신들과 함께 이스라엘왕국의 장기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기는 했지만 아직 그 실행에 있어서는 초기단계이다. 그러므로 군사력에 있어서 미흡하다. 2만 4천명의 병사를 보유하는 군단을 12개 만들 계획인데 아직 4개밖에 구성하지 못한 시점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왕국의 3개 군단을 동원하여 그보다 훨씬 많은 블레셋의 원정군을 모조리 격퇴한 것이다. 블레셋은 두차례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10만명에 가까운 병력으로 이스라엘을 침범했으나 그 가운데 자기나라로 도망을 친 패잔병은 2만명도 되지가 않는다; ..

다윗의 기도33(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33(작성자; 손진길) 유다왕 다윗이 전체 이스라엘 12지파의 왕이 되자 블레셋 가드에 살고 있는 아기스 왕이 바짝 긴장한다. 이스라엘의 지도자 가운데 누구보다 블레셋의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자가 다윗이다. 다윗은 개인적으로 블레셋의 비옥한 그랄 평야를 지키는 요새지 시글락에서 1년반을 지낸 바가 있다. 그가 이제는 전체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으니 언제 대군을 이끌고 블레셋으로 쳐들어올지 모르는 형편이다. 그래서 아비멜렉을 겸하고 있는 가드의 아기스 왕이 도시국가의 방백들을 모아서 다윗의 이스라엘왕국을 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그러는 도중에 전격적으로 다윗왕이 여부스인의 시온산성을 빼앗고 그 지역을 예루살렘이라고 부르면서 유다의 남부 헤브론에서 그곳으로 천도를 하고 만다. 블레셋의 동..

다윗의 기도32(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32(작성자; 손진길) 8. 다윗왕이 이스라엘왕국을 어떻게 제국으로 만들고 있는가? 무려 10년 세월을 사울왕에게 쫓기어 도피생활을 계속하던 다윗장군이 30세가 되자 비로소 도망자신세를 면하게 된다. 사울왕과 세자 요나단 그리고 두 왕자가 블레셋과의 이스르엘 전투에서 패하여 길보아 산에서 모두 죽음을 맞이하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러자 유다지파의 원로들이 시글락 요새로 다윗장군을 방문하여 자기 지파의 왕이 되어 달라고 요청한다. 그를 수락한 다윗장군은 자신의 장수와 군사를 이끌고 헤브론으로 이주하여 주전 1,011년에 유다의 왕이 된다. 다윗왕은 가나안 남부 유다의 땅을 7년반 다스리면서 자신의 유다왕국을 강성한 나라로 발전시킨다. 그 결과 마하나임의 이스보셋왕국이 경쟁에 밀려서 사라지고 이스라..

다윗의 기도31(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31(작성자; 손진길) 이스라엘왕국의 초대왕인 사울은 요단강 동편의 땅을 지키기 위하여 레위인의 성읍인 마하나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군사령관인 아브넬은 요단강 건너의 군사기지인 마하나임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 아브넬은 이스르엘 평원에서 벌어진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하자 사울왕과 세자 요나단 그리고 두 명의 왕자를 보호하지 아니하고 그 대신에 패잔병을 수습하여 얼른 왕도인 기브아로 들어간다. 그는 수도를 마하나임으로 옮기고 무신정권을 세우고자 획책한 것이다. 길보아산으로 피신한 사울왕과 세자 그리고 왕자들이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는 소식을 듣게 된 수도 기브아의 이스보셋 왕자와 귀족들은 살길을 찾아 군사령관 아브넬의 제안에 따라 마하나임으로 천도를 하고 만다. 그리고 그곳에서 사..

다윗의 기도30(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30(작성자; 손진길) 다윗왕은 헤브론의 왕성 누각에서 군사령관 요압이 기브온 전쟁을 끝내고 보무도 당당하게 개선하는 광경을 유심하게 지켜보았다. 그날 요압 사령관이 그의 아우이며 보좌관인 아비새 장군과 함께 승전보고를 하면서 동생 아사헬이 적장 아브넬에 의하여 전사하고 말았다는 슬픈 소식을 전하고 있다. 그러한 보고를 들으면서 다윗왕이 요압과 아비새에게 말한다; “지난 10년 세월을 우리와 함께 사울왕의 추격군을 물리친 아사헬 백부장입니다. 짐에게는 개인적으로 사랑하는 조카입니다. 그의 전사를 진심으로 애도합니다. 우리들의 고향인 베들레헴에 안장을 하였다고 하니 내가 한번 찾아보겠어요”; 그 다음에 다윗왕이 중요한 말을 한다; “이제부터는 그러한 비극이 다시는 없도록 합시다. 그 방법이 우리..

다윗의 기도29(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29(작성자; 손진길) 다윗이 헤브론에서 유다지파의 왕이 되자 마자 여호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이스라엘왕국의 국왕은 자신이라고 대대적으로 주장하고 나섰다. 그 증거로서 다윗은 13년전 당시 이스라엘의 대사사이며 대제사장이던 사무엘이 은밀하게 베들레헴을 방문하여 그러한 여호와 하나님의 예언의 말씀을 전하면서 자신에게 국왕이 되도록 기름을 부었다는 것이다. 모압의 미스베로 피난했던 다윗의 부모형제가 귀국하여 다윗의 증언이 사실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다윗은 전령을 마하나임의 인근에 있는 길르앗 야베스에 보내어 사울왕과 세자 요나단의 시신을 수습하고 장례를 지내 준 그곳 주민들의 공로를 치하하는 한편, 그들에게 이스라엘 통일전쟁에 앞장을 서달라고 내부선동을 하고 있다. 그와 같은 유다왕 다윗의..

다윗의 기도28(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28(작성자; 손진길) 7. 다윗의 통일전쟁과 통일전략 그리고 후유증 주전 1,011년 헤브론에서 유다지파의 왕으로 즉위한 다윗장군의 당면과제는 두가지이다; 첫째, 사울왕의 막내아들을 새로운 왕으로 내세운 마하나임왕국과의 정통성 경쟁이다. 둘째, 조속히 이스라엘 12지파를 통일하고 유다지파의 왕 다윗이 전체 이스라엘 12지파의 왕으로 즉위하는 것이다; 그래서 다윗장군은 유다지파의 왕으로 즉위하자 마자 이스라엘왕국의 초대왕 사울과 세자 요나단을 추모하는 사업을 실시하는 한편 여호와 하나님께서 자신을 이스라엘왕국의 차기국왕으로 벌써 13년전에 사무엘 선지자를 통하여 기름을 부으셨다는 사실을 일반에게 널리 공개한다. 그리고 이스라엘 12지파의 통일을 위해서는 전쟁과 회유 2가지 전략을 병행한다. 그..

다윗의 기도27(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27(작성자; 손진길) 주전 1,011년 이스라엘왕국의 북부 이스르엘 평원에서 블레셋의 원정군과 이스라엘의 군대가 대회전을 하고 있다. 이스르엘 평야와 길보아산은 블레셋 그랄 평야의 동쪽 국경 성읍인 시글락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다. 그러므로 시글락에 거주하고 있는 다윗장군이 그 전쟁의 상세한 결과를 잘 알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스르엘 평원에서 전투가 시작된지 열흘이 지나자 시글락에서 다윗이 그 전쟁의 결말에 대하여 알게 된다. 왜냐하면, 길보아 산에서 사울왕의 죽음을 확인한 이스라엘 군대의 탈영병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시글락에 들러 다윗장군에게 전쟁의 결과를 자세하게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그 청년이 시글락 성에 들어와서 대뜸 수문장을 찾는다. 그리고 급히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는 ..

다윗의 기도26(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26(작성자; 손진길) 주전 1,011년경 이스라엘의 갈릴리 서남부 이스르엘 평원에서 벌어진 이스라엘과 블레셋과의 대회전이 둘째날을 맞이한다. 전날에는 블레셋 가드 출신의 거인장수 골하람이 선봉장으로 나서서 이스라엘의 백부장 도대를 베었다; 그렇지만 두번째로 나선 이스라엘의 거인용사인 할렘과의 대결은 팽팽했다. 그 결과 골하람과 할렘이 서로를 죽고 죽이는 것으로 첫날의 대결이 모두 끝나고 말았다. 그리고 이제는 이튿날의 전투가 개시되고 있다. 먼저 이스라엘진영에서 일단의 기마대가 튀어나온다. 블레셋 진영의 중심부를 향하여 500여기의 기병들이 큰칼을 휘두르면서 군마에 박차를 가하여 전력으로 돌진하고 있다. 그 선두에서 용병인 마아가의 기병들을 이끌고 있는 인물이 바로 이스라엘의 베냐민지파가 자..

다윗의 기도25(작성자; 손진길)

다윗의 기도25(작성자; 손진길) 6. 블레셋과의 대회전과 세대교체 다윗이 800명으로 불어난 자신의 사병 가운데 200명을 시글락 성읍을 지키는 군대로 두고 나머지 600명을 이끌고 가드왕 아기스에게로 간 시기가 그의 시글락 거주 16개월이 지난 시점이다(삼상27:7). 아기스 왕이 다윗장군과 그의 부대를 가드로 부른 이유는 블레셋 5도시국가가 연합하여 이스라엘을 치고자 하기 때문이다(삼상28:1). 아기스 왕은 다윗장군을 신임하고 그를 이스라엘과의 전쟁에 참여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한달간 원정군을 편성하고 정벌계획을 세우는 과정에 있어서 다른 도시국가의 왕들과 그들의 군대의 사령관들이 다윗장군의 참전을 극구 반대한다. 그 옛날 가드의 용사 골리앗을 쳐죽이고 수많은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