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328

이사야 강해 제178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8강(사40:12-17)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2월 5일(토) 창조주 하나님의 권능과 그 위상에 대하여 이사야가 선민들에게 다시 설명을 하고 있는 이유(사40:12-17) 본문에서 이사야는 창조주 하나님의 위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는 모세오경에 이미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는 내용들입니다. 그런데 어째서 이사야가 아까운 지면을 할애하여 동족들에게 다시 설명을 해주고 있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크게 보아 두 가지라고 하겠습니다; 첫째, 이사야가 메시아의 시대를 내다보면서 하나님과 메시아와의 관계에 대하여 미리 비유적으로 설명을 해주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모세오경을 잘 알고 있다고 하는 선민들이 ..

이사야 강해 제177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7강(사40:6-11)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2월 4일(금) 이사야가 동족들에게 전하고 있는 메시지 두 가지,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라”(사40:6-8)와 “하나님을 보라”의 차이에 대하여(사40:9-11) 이사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시대에서 하나님을 직접 보는 시대로 역사가 전개될 것임을 본문에서 예언하고 있습니다. 그가 어떠한 방법으로 그 차이를 설명하고 있는지 각 구절을 살펴보면서 묵상을 통하여 그 깊은 의미를 다음과 같이 파악해보고자 합니다; 첫째로, “(a) 말하는 자의 소리여 이르되, 외치라. 대답하되, 내가 무엇이라 외치리이까? 하니 이르되, (b) 모든 육체는 풀이요, 그의 모든 아름다움은 들의 꽃과 같으니”(사4..

이사야 강해 제176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6강(사40:3-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2월 3일(목) 여호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은 히스기야와 같은 삶인가? 아니면 아브라함과 같은 삶인가? (창12:1-4, 사40:3-5) 주전 701년 히스기야 왕 14년에 메소포타미아의 패권국 앗수르 제국의 황제 산헤립이 대군을 이끌고 유다 왕국을 침입해오자 다윗 왕조는 멸망의 위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히스기야 왕과 신하들은 졸지에 예루살렘 성에 갇힌 채 국면의 전환을 위하여 애굽에 원군을 요청합니다. 하지만 산헤립 황제의 뛰어난 지략과 용맹 앞에 애굽의 군대는 무기력하기 짝이 없습니다. 히스기야 왕은 절망에 사로잡힙니다. 예루살렘 성과 선민의 멸망을 직감하면서 비로소 여호와 하나님..

이사야 강해 제175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5강(사40:1-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2월 2일(수) 선지자 이사야가 히스기야와 같은 이기적인 신앙인이 겪고 있는 삼중고(三重苦, 노역과 죄와 벌)가 장차 하나님의 은혜로 끝나게 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임을 알고서 미리 동족들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다(사40:1-2). 이사야의 기록인 그의 선지서 제36-39장은 역사서 특히 열왕기하 제18장 제13절부터 제20장 제19절까지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그것은 다같이 히스기야 왕 시절의 국난과 그 극복과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사야는 그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다음에 바로 오늘의 본문말씀 제40장의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왜 그와 같은 순서로 이사야가 하나님..

이사야 강해 제174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4강(사39:1-8)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2월 1일(화) 바벨론 사자에게 유다 왕국의 보물창고와 무기고까지 모두 공개하고 있는 히스기야 왕의 잘못에 대하여 선지자 이사야가 지적을 하다(사39:1-8). 지난 번 강해와 겹치고 있는 내용들이기에 아예 본문말씀의 각 구절을 하나씩 풀이해가면서 묵상을 통하여 그 깊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째로, “(1) 그때에 발라단의 아들 바벨론 왕 므로닥발라단이 히스기야가 병 들었다가 나았다 함을 듣고 히스기야에게 글(친서)과 예물을 보낸 지라. (2) 히스기야가 사자들로 말미암아 기뻐하여 그들에게 보물창고 곧 은금과 향료와 보배로운 기름과 모든 무기고에 있는 것을 다 보여주었으니 히스기야가..

이사야 강해 제173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3강(사39:1-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1월 30일(월) 바벨론 왕 므로닥발라단은 누구이며 왜 유다 왕 히스기야에서 호의를 보이고 있는가?(사37:8, 38:6, 39:1-2) 첫째로, 앗수르 제국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는 시기에 본문에서 느닷없이 바벨론 왕국의 친선사절이 독자적으로 유다 왕국을 방문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사39:1-2). 그 당시 히스기야의 유다 왕국은 앗수르 제국과 적대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앗수르 제국의 영향하에 있는 바벨론 왕국에서 히스기야 왕을 위로하기 위하여 사절을 파견할 수가 있을까요? 그 역사적인 수수께끼를 풀기 위하여 먼저 당시 앗수르 제국과 바벨론 왕국 사..

이사야 강해 제172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2강(사38:21-2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1월 29일(주일) 창조주 하나님께서 히스기야 왕을 죽을 병에서 낫게 하시고 그의 수명을 15년 연장시켜주겠다고 이미 약속하셨는데 어째서 이사야는 한 뭉치의 무화과를 아픈 곳에 붙이라고 말하고 있는가?(사38:21-22) 이사야는 히스기야 왕의 깨달음의 노래를 그의 선지서에 독점적으로 게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글을 읽게 되면 노래의 주인공 히스기야 왕처럼 감격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능력으로 불치의 병이 낫게 되고 더구나 죽을 목숨이 15년 더 살 수 있도록 구원을 받았으니 영생의 하나님을 감격스럽게 찬양하지 아니할 도리가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감격에 겨워하고 있는 독자들에게 선지..

이사야 강해 제171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1강(사38:9-20)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1월 28일(토) 하나님의 역사로 죽을 병이 낫게 된 히스기야 왕이 무엇을 노래하고 있는가?(사38:9-20) 가장 중요한 히스기야 왕의 영적인 깨달음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번 강해에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그가 노래하고 있는 내용전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각 구절을 하나씩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이 묵상을 통하여 그 의미를 풀이해봅니다; 첫째로, “(9) 유다 왕 히스기야가 병들었다가 그의 병이 나은 때에 기록한 글이 이러하니라. (10) 내가 말하기를 나의 중년에 스올의 문에 들어가고 나의 여생을 빼앗기게 되리라 하였도다”(사38:9-10); 먼저 이 글은 히스기야의 ..

이사야 강해 제170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70강(사38:9-10, 14, 16)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1월 27일(금) 중년의 나이에 죽음을 직면하게 된 히스기야 왕이 우연히 깨닫게 된 사실은 무엇인가?(사38:9-10, 14, 16) 첫째로, 본문의 말씀은 히스기야 왕이 죽음의 자리에서 깨달은 내용을 백성들에게 전해주고 있는 내용입니다. 먼저 그의 깨달음이 무엇인지 제14절과 제16절 말씀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a) 나는 제비같이, 학같이 지저귀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울며, 내 눈이 쇠하도록 앙망하나이다. (b) 여호와여, 내가 압제를 받사오니, 나의 중보가 되옵소서!”(사38:14), “주여, 사람이 사는 것이 이에 있고, 내 심령의 생명도 온전히 거기에 있사..

이사야 강해 제169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69강(사38:1-8)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년 11월 26일(목) 히스기야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난 창조주 하나님의 견인(堅忍, 참고 인내하심)과 구원에 대한 증거들(사38:1-8) 흔히 히스기야(bc715-687)를 유다 왕국의 13번째 왕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표현은 남조 유다 왕국의 왕들만을 가지고 순서를 말할 때에 그런 것입니다. 만약 다윗 왕조에 있어서 히스기야가 몇 번째 왕이냐고 질문을 한다면 정답은 15번째 왕입니다. 그 이유는 다윗 왕조의 초대 왕인 다윗(bc1,010-970)과 2대 왕인 솔로몬(bc970-930)의 통일왕국시대를 합하여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히스기야 왕 때에 앗수르 산헤립 황제의 침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