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 OBS교재(손진길 작성) 16

에스더 제6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6과(3:7-15)(손진길 작성) |OBS18-6| Q1. 일인지하,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 왕 바로 다음 지위, 제2의 권력자를 말함)의 자리에 앉게된 아말렉 왕의 후예 하만에게 결코 절하지 아니하는 일개 왕궁 방호장인 모르드개는(3;1-2) 무엇을 믿고 이와 같은 만용을 부리고 있는 것인가? Ø 우상에게 절하지 아니하며 우상화된 인간에게도 결코 절하지 아니하는 것이 십계명 중 제2계명인데(출20:4-5) 이를 철저하게 따르고 있는 모르드개는 하나님의 약속을(“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 대까지 은혜를 베푸느니라”, 출20:6) 믿고 있는 것임. Ø 천 대까지 은혜를 베푼다는 뜻은 ① 자손대대로 끝까지 하나님이 돌보실 것이라는 약속과 ② 하루가 천 년같은 하나님의 품속에서 ..

에스더 제5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5과(2:20-3:6)(손진길 작성) |OBS18-5| Q1. 왕후 에스더가 끝까지 자신의 종족과 민족을 왕에게 고하지 아니한(2:20)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가? Ø 인도와 중동 그리고 소아시아와 애굽 및 이디오피아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민족을 다스리고 있었던 페르샤 제국은 당대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였으나 그 주도 세력은 어디까지나 아리안 족인 메대와 바사 민족임을 쉽게 알 수 있슴(1:14). Ø 비록 유대인 포로 집안의 출신이지만 일찌기 바사의 수도 수산에서 성장한 에스더는 바사의 언어와 풍속에 완전하여 자신의 종족과 민족을 일부러 고하지 아니하면 바사 민족의 하나로 취급받을 수 있는 잇점이 있었던 것임. 이것이 사촌이며 후견인인 모르드개가 짜낸 지혜이지만 이와 같은 배경을 갖..

에스더 제4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4과(2:1-19)(손진길 작성) |OBS18-4| Q1. 여자의 발언권이 강했을 때에는 왕후의 자리가 왕에 버금가는 자리였을지 몰라도(1:12) 페르샤 제국내 실세들 사이에 가부장 질서로의 회귀를 합의하고나자(1:21) 이제는 왕후 자리를 노리는 방백들의 경합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대목은 어디인가? Ø 왕이 시신의 말을 듣고서 당장 전국 127개 도에 명령을 내리고 있는 장면임(2:1-4). Ø 왕이 방백들의 눈치를 보거나 그들이 추천하는 처녀들을 왕궁에 불러들인 것이 아니므로 왕후 피선의 문제는 더 이상 방백들의 관심사가 아니라고 볼 수 있는 것임. Ø 이제는 왕이 직접 보고서 마음에 들면 그대로 왕비로 삼을 수 있는 이른 바 왕후 간택의 문제에 있어서 왕의 재량권이 절대적이 된 것..

에스더 제3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3과(1:12-22)(손진길 작성) |OBS18-1| Q1. 왕후 와스디가 왕명을 거역한 이유는 무엇인가? Ø 절대권력자인 아하수에로 왕의 명령, 그것도 7명의 어전 내시를 함께 보낸 완전한 정식 명령을 감히 어긴 왕후의 내심에는 자신의 용모의 아리따움을 믿고 왕명을 싫어 하였으며 마음에 들지 아니하면 따르지 아니할 수 있었던 것임(1:10-12). Ø 이는 마치 자신의 아름다움이 창조주 하나님의 솜씨보다 더욱 칭송받아야 된다는 헛된 자만심에 그만 타락하여 자신의 지위를 떠나게 된 미의 천사장 루시엘의 경우를 다시 보는 듯함(사14:13-15, 유1:6, 창3:1-6). Ø 요컨대, ① 자신의 아름다움이나 마음의 생각을 절대시하거나 ② 창조주의 뜻과 명령보다 앞세우게 되면 ③ 가장 사랑하는 자..

에스더 제2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2과(1:2-11)(손진길 작성) |OBS18-2| Q1. 에스더서의 무대가 되고 있는 페르샤 제국, 그것도 가장 극성했던 아하수에로 왕때의 모습이 제1장 1절부터 9절사이에 묘사되고 있는데 주요 사실들은 무엇인가? Ø 페르샤 제국의 영토가 아시아의 인도로 부터 아프리카의 구스(이디오피아)까지 127개 도에 이르고 있슴(1:1). Ø 따뜻한 이란 땅의 수도인 수산(수사)궁에서 즉위한 아하수에로 왕은 통치 3주년을 기념하는 대 연회를 베풀었는데(1:2-3) 전국의 장수와 귀족 그리고 방백들이 모두 참석할 수 있도록 180일 동안 계속하였슴(1:4). Ø 도성에 사는 수산 인민들을(그들 역시 제국의 수도에 사는지라 특권층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슴) 초대하여 7일 동안 잔치를 베품(1:5). 베르사이..

에스더 제1과(손진길 작성)

에스더 제 1과(1:1-전체)(손진길 작성) |OBS18-1| Q1. 구약 성경 39권 가운데 제17권으로 자리잡고 있는 에스더서가 지니고 있는 특이성은 무엇인가? Ø 가장 큰 특이성은 이방 땅 페르샤에서 발생한 사건이면서 동시에 ‘하나님’이라는 이름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아니하는 문서인데 이것이 히브리 성경에 등재되고 이스라엘 마지막 절기 때 회당에서 봉독되었으며 오늘 날도 당당하게 구약 성경에 자리를 잡고 있다는 사실임. Ø 그 이유는 예루살렘으로 평생동안 돌아오지 못하고 이방 땅에 남겨져서 그대로 살게된 약속의 백성들을 하나님이 지키고 돌보시기 위하여 어떻게 이방 나라의 역사를 섭리해나가셨던가 하는 점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문서이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슴. Ø 여기서 참고로, 끝까지 이방 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