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192

민수기 강해 제132강(민25:6-13)(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32강(민25:6-13)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8일(목) 아론의 손자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가 바알브올에게 가담한 어떤 사람을 어떠한 방법으로 미디안 여인과 함께 처리하였기에 그것이 하나님의 마음에 들었으며 여호와께서는 전염병으로 이스라엘 자손들을 소멸하려던 애초의 계획을 돌이키고 비느하스의 가문에 큰 축복을 주시는가?(민25:6-13) 언뜻 보면, 참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대목입니다. 아론의 대제사장직을 계승하고 있는 엘르아살의 아들인 비느하스가 회막 문 앞에 미디안 여인을 데리고 온 이스라엘 청년의 뒤를 뒤쫓아가서 은밀하게 그 집에서 단숨에 창으로 두 사람을 척살한 것이 여호와 하나님의 마음에 들었다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

민수기 강해 제131강(민25:1-5)(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31강(민25:1-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7일(수) 모압 광야 싯딤에 진을 치고 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닥치고 있는 영적인 타락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디에서 비롯되고 있는가? 그리고 당장 더 이상의 타락을 막기 위하여 여호와의 처방은 어떻게 주어지고 있는가?(민25:1-5) 아르논 강 북쪽에서부터 얍복 시내를 건너 계속 북상하여 갈릴리 호수 동편에 있는 바산 왕국까지 모두 정복한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남하를 하여 모압 광야로 불리고 있는 싯딤 지역에 한달 이상 머물고 있습니다(민25:1a). 모세는 그곳에서 적어도 다음 두가지 작업을 진두지휘한 것으로 보입니다; (1) 첫째로, 출애굽 제40년 마지막 달을 맞이하고 ..

민수기 강해 제130강(민24:20-25)(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30강(민24:20-2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6일(화) 광야의 약탈자 아말렉은 물론 집시 부족 겐 족속까지 복속을 시키는 두려운 패권제국들이 역사 가운데 등장을 하게 되는데 여호와의 섭리로 그 순서가 어떻게 된다고 선지자 발람이 예언하고 있는가?(민24:20-25) 아람 왕국의 브돌 출신인 선지자 발람이 모압 왕 앞에서 미래지사에 대한 예언을 하고 있습니다. 그가 예언을 발하고 있는 장소가 브올 산입니다(민23:27-24:3, 14). 그 산은 느보 산과 싯딤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염해와 요단 강이 만나는 접점의 동쪽에 있는 산입니다. 선지자 발람이 이스라엘 12지파가 진을 치고 있는 싯딤과 모압 광야를 내려다보다가 갑자..

민수기 강해 제129강(민24:15-19)(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9강(민24:15-19)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5일(월) 선지자 발람은 훗날 이스라엘이 주변국의 백성들을 정복하면서 모압과 에돔까지 정벌한다고 예언하고 있음(민24:15-29). 그렇다면 아브라함의 후손인 에돔, 장조카 롯의 후손들인 모압과 암몬을 일체 침략하지 말라고 명령하신 여호와의 뜻은 어째서 변경이 되고 있는가?(신2:4-6, 9, 19, 민22:2-6) 본문에서 선지자 발람이 모압 왕에게 전달하고 있는 미래에 대한 예언은 그 내용이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1) 첫째로, 어떤 사람들이 여호와 하나님의 예언자들이 될 수 있는지를 먼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민수기 강해 제128강(민24:10-14)(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8강(민24:10-14)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4일(주일) 선지자 발람이 3차례나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여호와의 말씀만을 신탁으로 전하게 되자 마침내 모압 왕이 분노하고 있음(민24:10-11). 그 화를 피하고자 선지자 발람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민24:12-14) 모압 왕 발락은 참으로 어렵게 두 차례나 신하들을 사절단으로 북부 시리아 브돌로 보내어 선지자 발람을 모압으로 초청하였습니다. 그 목적은 발람의 주술적인 능력을 사용하여 여호와로 하여금 이스라엘 백성들을 저주하도록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그런데 모압 왕의 그 소원이 이루어지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발락 왕이 세 차례나 장소를 바꾸어 가면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많..

민수기 강해 제127강(민24:6-9)(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7강(민24:6-9)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2일(금) 선지자 발람이 브올 산에서 하나님의 영의 감동으로 선포하고 있는 예언 가운데 이스라엘 자손들에 대한 여호와의 축복의 말씀이 어떻게 들어 있는가?(민24:6-9) 이스라엘 자손들에 대한 여호와의 축복에 대하여 선지자 발람이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예언을 하고 있습니다; (1) 첫째로,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땅 가나안에 거주하고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아름다운 모습이 다음과 같이 묘사가 되고 있습니다; 1) 첫째, 배산임수(背山臨水, 뒤에는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서 바람을 막아 주고 그 앞에는 내와 강이 흘러 물걱정이 없는 복지를 말함)에 이스라엘 자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니 그 거..

민수기 강해 제126강(민23:27-24:5)(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6강(민23:27-24:5)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3월 1일(목) 모압 왕은 세번째로 발람을 어디로 인도하여 그에게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고 기도하여 자신의 소원을 이루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가?(민23:27-30) 그 결과 얻고 있는 신탁의 첫머리가 무엇이며 그것은 오늘날 성도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민24:1-5) 본문에서 모세가 적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1) 첫째로, 모압 왕인 발락은 자신의 소원을 이루기 위하여 선지자 발람을 데리고 한번은 아르논 강 남쪽에 있는 높은 산 바알의 신당으로(민22:41), 또 한번은 아르논 강 북쪽에 있는 비스가 산지로 데리고 가서(민23:14) 여호와께 7제단을 쌓..

민수기 강해 제125강(민23:21-26)(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5강(민23:21-26)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2월 28일(수) 여호와께서 야곱의 허물과 이스라엘의 반역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축복하시는 이유가 무엇인가?(민23:21-26) 선지자 발람이 여호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두번째 신탁의 말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이 다음과 같습니다; (1) 첫째, 야곱의 허물에도 불구하고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야곱의 인생에 동행하시고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인생으로 그의 운명을 바꾸어 주십니다(민23:21a, 창27:13-30, 28:12-15, 32:28, 35:9-13). 마찬가지로 출애굽한 이스라엘 자손들의 광야생활 가운데 발생한 그 수많은 반역사건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여전히 임재하시고 보호하시..

민수기 강해 제124강(민23:13-20)(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4강(민23:13-20)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2월 27일(화) 어째서 발락 왕이 선지자 발람을 데리고 이스라엘 진영의 끝만 보이는 곳에 데리고 가서 다시 신탁의 말씀을 받아 달라고 부탁을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여호와의 답변은 무엇인가?(민23:13-20) 모세오경은 히브리정경의 제일 앞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유대교의 경전입니다. 그리고 기독교에 있어서도 그 정경의 편집에 있어서 구약의 앞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째서 모세오경이 여호와 하나님을 섬기고 예수 그리스도처럼 살아가고자 하는 성도들에게 있어서도 그 정경의 앞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모세오경에 여호와의 뜻과 세상경영의 방식을 들여다볼 수 있는..

민수기 강해 제123강(민23:6-12)(작성자; 손진길 목사)

민수기 강해 제123강(민23:6-12)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터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8년 2월 26일(월) 여호와의 선지자 발람이 모압 왕 발락에게 전달하고 있는 여호와의 신탁의 내용이 무엇이며 그것은 제주(祭主, 제사의 물주로서 신탁을 받고자 하는 자)인 모압 왕의 생각과 어떻게 다른가?(민23:6-12) 모압 왕인 발락이 멀리 아람 왕국에 살고 있는 선지자 발람을 모압 땅에 초청하여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고 신탁의 말씀을 받아 달라고 요청했는데 그가 원하는 신탁의 내용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저주하는 것입니다(민23:7). 그런데 발락 왕의 기대와는 다르게 선지자 발람이 여호와께로부터 얻어서 그에게 전해주고 있는 신탁의 말씀은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저주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