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아 OBS교재(손진길 작성)

성경공부; 호세아 제1과(1:1-2)(손진길 작성)

손진길 2022. 1. 10. 07:27

성경공부; 호세아 제1(1:1-2)(손진길 작성)

[OBS27-1]

 

Q1. “웃시야와 요담과 아하스와 히스기야가 이어 유다 왕이 된 시대 곧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이 이스라엘의 왕이 된 시대에”(1:1)라는 기술은 시공간적(時空間的)으로 무엇을 상기시켜주고 있는가?

 

l  첫째로, 호세아 선지자가 시간적으로는 유다 왕 웃시야와 요담과 아하스와 히스기야 시대에”(1:1)로 그 기록을 시작하고 있는 선지자 이사야와 같은 세대(same generation)에 속한다는 의미임. 둘째로, 그러나 공간적으로는 이사야가 남 왕국 유다 나라의 선지자(1:1,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가 유다와 예루살렘에 관하여 본 계시라”)임에 비해서 호세아는 북 왕국 이스라엘 나라의 선지자임을 말하고자 하고 있음. 그 표현이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이 이스라엘의 왕이 된 시대에”(1:1) 인 것임.

l  여기서 말하고 있는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 왕은 북조 이스라엘 왕국의 초대(初代) 왕이었던 에브라임 지파 여로보암1가 아니고(왕상11:26) 초대 왕이 서거한 후 약 130년 후에 등극하게 되는 잇사갈 지파 여로보암2를 말하고 있음(왕하14:23-29). 그렇게 볼 수 있는 이유는 여로보암1세의 아버지가 솔로몬의 신하 느밧”(왕상11:26)이었기 때문임. 또 여로보암2세의 통치기간이(BC792-753) 남조 유다 웃시야 시대부터 히스기야 시대까지(BC791-681)의 기간 내에 속하고 있기 때문임. 참고로 에브라임 왕가 다음에 잇사갈 지파의 바아사 왕가가 성립되었는데(왕상15:27) 그 이후 여러 번의 쿠테타가 있었으나 잇사갈 왕조 내에서의 정권교체에 그치고 있음. 따라서 여로보암2세 역시 잇사갈 지파로 볼 수 있는 것임.

……………………………………………………………………………………………………………………………………………………………………………………………………………………………………………………………………………………………………………………………………………………………………………….

 

Q2. 호세아 시대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는 무엇을 예언하고자 하고 있는가?

 

l  여로보암2세 때는 외생적(外生的)인 호조건(好條件) 때문에 북 왕국이 번영을 누리게 된 시대임. 북방의 적들이 분열되어 있었기에 여로보암2세의 군대는 북쪽 지역을 평정할 수 있었음(왕하14:25-28). 북방 무역 수송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스라엘 왕국은 번영을 누릴 수 있게 됨. 이것은 한국의 역사에 비추어 보자면,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리는 발해(勃海)가 북방의 유라시아 교역로인 일명 담비 로드그리고 일본과의 해상 교역로를 동시에 확보하고서 동방의 강대 부국으로 등장했던 것과 같은 맥락인 것임.

l  외생적인 호조건에 비해서 내생적(內生的)인 조건은 악하기 그지 없었음. 그 이유는 이스라엘 나라가 야훼 하나님을 떠나서 크게 음란하였기 때문임(1:2, 왕하14:23-24)).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인 힘만을 믿고서 세상적인 영광과 향락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가? 그 결과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선지자 호세아에게 알려주고 계시는데 그것을 적은 글이 바로 소선지서의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호세아서인 것임.

l  얼마 지나지 아니하여 북방과 동방을 아우르는 중동 땅의 새로운 패권국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앗수르 제국의 형성이었음. 강력한 앗수르 대군의 힘 앞에 북방 아람 왕국이 BC733년에 그리고 마침내 북 이스라엘 왕국이 BC722년에 멸망을 당할 운명인 것임. 이를 미리 알게 되는 호세아는 상징적인 수법으로 그의 선지서를 기록하고 있음.

l  북조 이스라엘 왕국은 금송아지 우상만 섬기다가 끝내는 나라가 망하게 될 것임. 비극은 이에 그치지 아니하고 쓸만한 백성들은 이방 땅으로 끌려가게 될 것임. 그러므로 호세아의 궁극적은 관심은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음. “망하기로 예정되어 있는 이스라엘 나라이지만 먼 훗날 그 백성들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섭리가 이방 땅에서 나타날 것이니 부디 그 사실을 명심하고서 이제부터라도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 신앙으로 되돌아가라!”는 메시지인 것임.

………………………………………………………………………………………………………………………………………………………………………………………………………………………………………………………………………………………………………………………………………………………………………………

 

Q3. 호세아 시대의 북 왕국 이스라엘과 같은 시대 이사야의 남 왕국 유다와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무엇인가?  

 

l  신흥 패권국 앗수르 제국의 남침으로 남조 유다 왕국도 북조 이스라엘 왕국처럼 멸망 당할 동일한 운명에 처할 수 있었으나 다행스럽게도 성군( ) 히스기야가 나타나서 우상을 제거하고 신하들과 더불어 하나님 앞에 회개하는 모범을 보임으로 말미암아 최후의 순간에 구원을 받게 됨. 그러한 구원의 역사를 이사야가 그의 대선지서에 기록으로 남기고 있음(36-37).

l  그러나 안타깝게도 북조(北朝)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에는 히스기야와 같은 믿음의 왕이 나타나지를 못하고 초대 왕 여로보암1세의 종교정책을 계승하여 왕과 백성이 금송아지 우상만 섬기다가 끝내는 나라가 망하게 된 것임. 비극은 이에 그치지 아니하고 쓸만한 백성들은 이방 땅으로 끌려갔으며 앗수르의 강력한 식민(植民) 및 혼혈정책에 따라 사마리아 땅에 남게 된 백성들마저 이주해온 이민족과 혼혈이 되어 결국 그 피의 순수성과 족보(族譜)가 사라져버리게 되는 것임(왕하17:21-41).

l  성경상 유일하게 멸망 당한 북조 이스라엘 왕국 출신 열 지파의 족보 가운데 그 하나가 남아 있는 흔적은 아셀 지파 비누엘의 딸 안나라 하는 선지자에 대한 기록 뿐임(2:36). 남아 있는 레위 지파의 족보는 남조 유다의 유민(流民)의 것이거나 아니면 남쪽으로 월남했던 레위 지파의 것으로 보임. 레위 지파의 대거 월남(越南)으로 말미암아 여로보암1세는 레위 지파가 아닌 자를 제사장으로 임명한 것으로 볼 수 있음(왕상13:33-34).

………………………………………………………………………………………………………………………………………………………………………………………………………………………………………………………………………………………………………………………………………………………………………………………………

 

Q4. “브에리의 아들 호세아라고 표기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l  아버지의 이름을 먼저 적고서 그 다음에 아들의 이름을 적는 이유는 아버지와 그 가문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임. 그 영향력이 아들에게까지 미치고 있다는 것은 그 집안이 유명하기 때문임. 예를 들면,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3:2), “부시의 아들 제사장 나 에스겔”(1:3)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왕가의 후손 또는 제사장 가문의 후손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임.

l  그 집안이 왕가도 아니고 제사장 집안도 아니지만 특정 지역에서 그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아버지의 이름을 먼저 거명하고서 그 다음에 그 아들의 이름을 적고 있음. “브에리의 아들 호세아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그러한 사례에 속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볼 수 있음. 그렇지만 호세아에게 야훼 하나님의 계시가 직접 임하는 것을 보면 겉으로 드러나지는 아니하지만 그 아버지 집안이 제사장 가문일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는 것임.

l  이와 같은 경우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이라는 표기에서도 엿볼 수 있음(1:19, 3:17). 겉으로 보면 세베대는 변방 갈릴리에서 그저 유명한 선주(船主)로 보이지만 사실은 대제사장 집안과 친하고(18:15) 그 아내가 예수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예수의 이모 살로메일 가능성이 크며(19:25, 15:40, 20:20-21) 아울러 처가(妻家) 집안이 대제사장 아론의 직계인 것으로 보아(1:5, 36, 40) 세베대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제사장 가문의 후계자일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임. 어쨌든 그와 같은 복합적인 의미에서 사도 야고보와 요한의 이름자 앞에는 항상 그들 아버지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는 것임.

l  이와 비슷하게 본인의 고향 이름을 그 이름자 앞에 병기(騈記)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워낙 흔한 이름인지라 고향의 다름을 가지고 확실하게 본인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임. “가룟인 유다”(3:19, 14:10), “막달라 마리아”(19:25, 20:1) 등이 대표적인 경우임.

………………………………………………………………………………………………………………………………………………………………………………………………………………………………………………………………………………………………………………………………………………………………………………

 

Q5. “너는 가서 음란한 여자를 맞이하여 음란한 자식들을 낳으라”(1:2)는 말씀이 내포(內包)하고 있는 의미는 무엇 무엇인가?

 

l  여자가 음란하다는 말은 잠자리를 함께 하는 남자가 여럿이라는 의미임. 그러므로 호세아 선지자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창녀라고 부를 수 있는 여자와 혼인을 하게 된 것임.

l  음란한 자식이라는 뜻은 그 어미가 문란한 성 생활을 통하여 생산한 자식이라는 것임. 따라서 호세아가 맞아들인 아내가 호세아의 자식을 생산한 것이 아니라 그 내막은 여러 다른 남자의 자식을 생산하였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

l  이와 같은 저주스러운 집안이 탄생하게 되는 이유는 북조 이스라엘 나라의 왕과 백성들이 야훼 하나님 신앙을 버리고 우상을 함부로 섬겼기 때문임(2:2). 백성들의 문화와 사상 그리고 가치관이 물질화되고 세속화 되어 버린 것을 종교적 맥락에서 성적인 문란으로 묘사하고 있음. 아울러 온 나라의 타락상을 선지자 호세아의 가정사로 담아서 묘사해나가고 있는 것이 호세아서의 문학적 구조적 특징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