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강해(작성자; 손진길 목사)

이사야 강해 제101강(작성자; 손진길 목사)

손진길 2021. 7. 2. 10:57

이사야 강해 제101(22:20)

작성자; 손진길 목사(오픈 바이블 스타디 인도자)

작성일; 주후 2015920(주일)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의 정체에 대하여(22:20)

 

먼저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의 정체에 대하여 좀더 알아본 다음에 그 다음 내용을 한 구절씩 검토하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일각에서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요시야 왕의 아들인 엘리아김으로 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는 경우에는 본문의 해석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역사적인 관점과 성경적인 관점에서 과연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의 정체를 어떻게 파악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본문에서 이사야는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전달하면서, “그날에 내가 힐기야의 아들 내 종 엘리아김을 불러”(22:20)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역사서에서 엘리아김을 찾아보면 요시야 왕의 아들 중 하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왕하23:34, 대하36:4).

(2)  다음으로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을 찾아보면 히스기야 왕 때 궁내대신을 맡고 있는 힐기야의 아들 엘리야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왕하18:18, 26, 37, 19:2). 그런데 똑 같은 기록을 반복하고 있는 대선지서 이사야의 내용을 살펴보면, 히스기야 왕 때 궁내대신을 맡고 있는 자는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이라고 적고 있습니다(36:3, 11, 22, 37:2).

(3)  선지자 이사야가 엘리야김엘리아김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것은 발음상 음편주의에 의한 것이며 본질적인 차이를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본질적인 차이는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이 과연 요시야 왕의 아들 엘리아김이 될 수가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4)  고대의 유대사회에서 사람들이 두 개의 이름을 지니고 있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예를 들면, ‘여호야긴왕의 이름이 여고냐입니다(왕하24:6, 대상3:16). 그리고 시몬 베드로의 아버지의 이름이 요나’(16:17) 또는 요한’(21:15)입니다. 그러므로 힐기야요시야 왕의 또 다른 이름으로 보고서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이 바로 요시야 왕의 아들 엘리아김이라고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5)  그런데 그 주장은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성립되기가 힘듭니다;

1)    요시야 왕의 이름을 힐기야라고 적고 있는 구절이 성경의 기록상 존재하지 아니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요시야 왕의 아들 엘리아김은 애굽의 황제인 바로 느고에 의하여 일종의 괴뢰정권의 수장으로서 유다 왕이 된 인물입니다(왕하23:34). 더구나 바로에 의하여 그의 이름 엘리아김마저 여호야김으로 개명이 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다윗왕조의 수치입니다.

3)    요시야 왕이 죽자 신하들과 유다 백성들이 스스로 세운 왕이 여호아하스입니다. 엘리아김은 그보다 못한 왕자였기에 배제가 된 인물입니다. 나아가서 여호아하스 왕을 애굽의 바로가 폐위하고 세운 여호야김 왕이므로 그를 훌륭한 왕이라고 보기가 힘듭니다.

4)    역사서에서 여호야김 왕의 통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여호야김이 그의 조상들이 행한 모든 일을 따라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더라”(왕하23:37).

  결론을 맺어보고자 합니다; 이사야가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힐기야의 아들 엘리아김은 하나님의 신실한 종입니다(22:20-24). 그런데 역사서가 말하고 있는 여호야김 왕은 그 이미지가 전혀 다릅니다. 따라서 두 사람이 동일인물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성립되기가 힘들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