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제7과(3:2-7)(손진길 작성)
|OBS21-7|
Q1. BC 586년 남조 유다 왕국까지 정복함으로써 드디어 중동 최대의 제국을 형성하게된 느부갓네살 왕은 이듬해 새 시대를 열기 위하여 황명으로 금신상을 만들어 두라 평지에 세웠는데(3:1) 이 작업은 어떠한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가?
Ø 신 바벨론 제국의 수도인 바벨이 ‘바벨론 도(道, province)’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 인근 지역이 이른 바 갈대아 우르 지역이며 옛날 시날 평야 지대였슴(창10:10, 11:2). 이 곳에 약간의 구릉지대가 있는데 그 곳 ‘두라 평지’에 높이 약 27M에 이르는 거대한 금 신상을 세운 것임(3:1).
Ø 그 이유는 그 옛날 이 곳에 바벨 탑을 세운 니므룻 제국의 정책을 답습한 것으로 볼 수 있슴(창11:2-4). “성과 대를 쌓아 대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는 것임(창11:4). 하나된 신 바벨론 제국의 이름 아래 천하만민이 하나되어 영원토록 함께 번영할 것을 추구하는 염원을 그 신상 숭배사상에 담고 있으며 그 신상의 소유주가 바로 느부갓네살 황제 자신이 되고 있는 것임.
Ø 이와 같은 정책은 훗날 AD 313년 로마 제국의 재통일을 이룩했던 콘스탄틴 황제가 십년 후부터 추진한 바 있는 소위 ‘기독교 국교화 운동’과 일맥상통하고 있슴. “로마도 하나, 황제도 하나, 이제부터는 종교도 하나”라는 콘스탄틴 황제의 정치적 슬로건의 원형을 900년 전에 이미 느부갓네살 시대에 바벨론에서 보고 있는 것임.
Ø 그러므로 이와 같은 속뜻 깊은 정책을 단순하게 “잘못된 황제숭배사상이며 우상숭배사상에 불과하다”고 치부할 것만은 아닌 것임. 여러 민족과 사상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어떻게해서든지 하나로 통합하여 제국을 유지시켜나갈려는 정치적인 몸부림으로 보아야할 것임.
Ø 요컨대, 제국을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이것을 유지하는 일도 어렵다는 사실을 느부갓네살 왕의 ‘금신상 건립 및 숭배강요 사건’에서 그대로 엿볼 수 있는 것임.
………………………………………………………………………………………………………………………………………………………………………………………………………………………………………………………………………………………………
Q2. 신 바벨론 제국의 영토의 크기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 지방조직인 ‘도’의 개념인데 당시 몇 개의 종족을 ‘도(道, province)’라는 지방 행정단위로 나누어서 통치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가?
Ø 신바벨론 제국을 기습적으로 점령했던 메대의 다리오 왕과 바사의 고레스 왕이 전국을 120개의 도로 구분하여 통치한 사실을 참조해 보면(단6:1) 느부갓네살 왕 당시에는 약 118개의 도로 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임. 왜냐 하면, 메대와 바사라는 두 개의 도가 빠져있기 때문인 것임.
Ø 참고로 페르샤의 고레스 왕이 천하를 재통일한 지 50여년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즉위했을 때에는(BC 486년경) 인도 북서부 파키스탄 지역과 애굽 구스 지역까지 합하여 총 127개 도로 그 영토가 넓어지고 있슴(에1:1). 이것이 훗날 헬라 시대에는 그리스와 마케도니야가 포함되어 더욱 넓어지고 로마 시대에 들어서게 되면 유럽 대륙 전체와 북 아프리카 중동 지역 전부가 여기에 포함되어 그 지경이 더욱 넓어지게 되는 것임. 한 도에 큰 종족이 하나의 민족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상정할 경우에는 신바벨론 시대에 118개 민족, 페르샤 시대에 127개 민족, 헬라 시대에 130개 민족, 로마 시대에는 적어도 150개 민족 정도가 각각 하나의 제국의 깃발아래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는 것임.
……………………………………………………………………………………………………………………………………………………………………………………………………………………………………………………………………….
Q3. 각 민족을 다스리는 각 도의 수장들과 삼권분립 구조 그리고 병권의 독립과 황제의 지방 감시체제를 모두 엿볼 수 있는 신 바벨론 제국의 관직명은 어떻게 나열되어지고 있는가?
Ø 첫째로, 지방 도의 내치를 책임지고 있는 방백(3:2, the satraps)이 있는데 이는 과거의 왕들에 해당하는 벼슬임. 별도로 병권을 장악하고 있는 자 수령(3:2, prefects)이 있어 방백을 견제하고 있었슴.
Ø 둘째로, 방백의 내치를 삼권분립적으로 보좌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황제가 직접 임명함으로써 지방 정치를 감시하고 있는 고위직으로서는 ①행정직에 부지사급인 도백(3:2-3, governors) ②입법직에 재판관(3:2-3, advisers) ③재정직에 재무관(3:2-3, treasurers) ④사법직에 모사(judges)와 법률사(magistrates)가 각각 파견되어 있었슴(3:2-3).
Ø 셋째로, 지방행정 관료조직으로서는 “각도 모든 관원”(3:2-3, all the other provincial officials)이 있었슴.
……………………………………………………………………………………………………………………………………………………………………………………………………………………………………………………………………………………………..
Q4. 신 바벨론 제국에 크게 보아 세 종류의 신분이 존재하고 있었슴을 엿보게 해주는 대목은 어디인가?
Ø “백성들과 나라들과 각 방언 사용하는 자들”(3:4, “O peoples, nations and men of every language, NIV)이 그것들임.
Ø 그 의미는 ①제국의 본토인 갈대아 우르 사람들이 정식 지배족속으로서 귀족계급이자 시민인 백성들임(peoples) ②점령지역 가운데 정식 왕조와 독자적인 문자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던 자들이 이른 바 문화민족으로서 나라들임(nations) ③문자없이 지방 말인 자신들의 언어만을 구사하고 있었던 자들이 ‘각 방언하는 자들’(man of every language)이였슴.
Ø 이와 같은 순서가 제국내 세 종류의 신분을 말해주고 있는 것임. 곧 시민계급, 문화민족, 그리고 미개한 종족들의 순서인 것임.
………………………………………………………………………………………………………………………………………………………………………………………………………………………………………………………………………………………………
Q5. 지방 고위직과 지방 관료 모두, 그리고 세 종류의 신분자들 모두가 강제로(3:4-6) 큰 신상을 예배할 때에 수많은 악기가 연주되는데 그 악기 이름이 주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Ø 적어도 세 가지 악기(수금,양금,생황, 3:5,7) 이름이 헬라어이므로(수금=키타리스, 양금=살테리온, 생황=숨포니아) 비평학자들이 다니엘서를 헬라 시대의 위작(僞作)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되고 있슴.
Ø 그러나 후기저작설과 위작설은 역사적으로 이미 BC 10세기에 솔로몬 왕과두로 왕 히람이 함께 해상 무역에 나서 지중해와 홍해 그리고 멀리 인도양의 여러 연안국들과 교역을 하였다는 사실을(왕상5:9-18, 해운업이 발달한 두로, 왕상9:26-28, 인도의 오빌, 왕상10:1-2, 아라비아의 스바 여왕, 왕상10:22, 다시스) 간과하고 있는 것임. 고대 악기가 해상 무역을 통해 유통되었으며 그 악기의 이름과 사용법 등이 자연히 함께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큰데 이 점을 무시하고 있는 것이 비평학자들의 견해라고 볼 수 있을 것임.
……………………………………………………………………………………………………………………………………………………………………………………………………………………………………………………………………………………………
'다니엘 OBS교재(손진길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엘 제9과(3:19-4:3)(손진길 작성) (0) | 2021.10.16 |
---|---|
다니엘 제8과(3:8-18)(손진길 작성) (0) | 2021.10.16 |
다니엘 제6과(2:44-3:1)(손진길 작성) (0) | 2021.10.16 |
다니엘 제5과(2:29-43)(손진길 작성) (0) | 2021.10.16 |
다니엘 제4과(2:16-28)(손진길 작성) (0) | 202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