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주석 28

사도행전 제8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8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8:1사울이 그의 죽임 當(당)함을 마땅히 여기더라 그 날에 예루살렘에 있는 敎會(교회)에 큰 逼迫(핍박)이 나서 使徒(사도) 外(외)에는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 흩어지니라 사울이...마땅히 여기더라 - 스데반의 죽음에 대한 사울의 책임성을 간접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사울은 스데반의 처형을 직접 지휘하지는 않았지만 그 순교의 현장에서 그것을 목격하고 마땅히 여김으로써 죄악에 동참했다. '마땅히 여기더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쉰유도콘'은 동의하다', '합의하다', '승인하다'의 뜻을 지닌 '쉰유도케오'의 미완료 과거 완곡 어법으로서 사울이 스데반의 죽음에 찬동하고 있음을나타낸다(22:20).  그 날에 - 스데반이 돌에 맞아 순교하던 ..

사도행전 주석 2024.05.16

사도행전 제7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7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7:1大祭司長(대제사장)이 가로되 이것이 事實(사실)이냐 이것이 사실이냐 - 스데반은 성전과 율법을 거스렸다는 죄목으로 고소되었다(6:14). 당시의 재판 관례에 따르면 피고에게는 고소한 내용에 대해 변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래서 재판장인 대제사장은 스데반에게 고소내용에 대한 사실성 여부를 공식적으로 물었다. =====7:2스데반이 가로되 여러분 父兄(부형)들이여 들으소서 우리 祖上(조상) 아브라함이 하란에 있기 前(전) 메소보다미아에 있을 때에 榮光(영광)의 하나님이 그에게 보여 여러분 부형들이여 - 어떤 학자들(Alford, Hervey)에 따르면 스데반이 이설교를 70인역(LXX)을 바탕으로 하여 헬라어로 했을 것이라고 추정한..

사도행전 주석 2024.05.15

사도행전 제6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6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6:1 그때에 弟子(제자)가 더 많아졌는데 헬라派(파) 유대人(인)들이 自己(자기)의 寡婦(과부)들이 그 每日(매일) 救濟(구제)에 빠지므로 히브리派(파) 사람을 怨望(원망)한대 제자가 더 많아졌는데 - '제자'의 헬라어 '마데테스'는 본서에서 처음 언급되고 있다. 이 단어는 공관복음서에서 160회, 요한복음서에서 78회, 본서에서 28회 사용되고 있는데 예수의 12제자들뿐만 아니라 예수를 믿고 그리스도인들이 된 사람들까지 지칭한다.(14:21 ; 요 8:31). 전장에서 유다인들의 탄압에 대한 가말리엘의 변호(5:34-39)와,채찍에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복음을 증거한 사도들의 담대한 전도는 제자들의 수를 급증시켰다. 렌스키(Lenski)에 따..

사도행전 주석 2024.05.15

사도행전 제5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5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5:1아나니아라 하는 사람이 그 아내 삽비라로 더불어 所有(소유)를 팔아 누가가 여기까지 우리가 알아듣도록 설명해 온 것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함께 모여진 그 단체가 사람들의 단체라고 하기보다는 차라리 천사들의 단체와 같았다는 사실이다. 부자들이 가난한 자들을 원조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자기들의 돈뿐 아니라 그들의 토지까지도 내던졌다는 것은 견줄데 없는 덕행이었다. 이제 그는 실제로 다음의 사실을 보여준다. 즉 사단은 이 거룩한 고단(holy community)에 잠입할 계략을 고안해냈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고상한 미덕으로 감싸여져 있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을 교묘하게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놀라운 위선의 방편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단..

사도행전 주석 2024.05.14

사도행전 제4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4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4:1 使徒(사도)들이 百姓(백성)에게 말할 때에 祭司長(제사장)들과 聖殿(성전) 맡은 者(자)와 사두개人(인)들이 이르러사도들이... 말할 때에 - '말할 때에'로 번역된 헬라어 '랄룬톤'은 부사적 분사 용법의 형태로서 '그들이 아직도 말하고 있는데'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도의 설교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성전 가운데서 사태가 급변한 것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본절에서 누가는 뵨음 전파에 대한 최초의 반대 세력이 누구였던가를 밝히고 있다.제사장들 - '호이 히에레이스'라고 표현된 그들은 산헤드린에속한 권력자들로서 성전에서 모든 예배 의식을 집행하는 성직자들이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예배를 맡은 자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의 입장에서 봤을 때, 당시 ..

사도행전 주석 2024.05.13

사도행전 제3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3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3:1第(제) 九時(구시) 祈禱(기도) 時間(시간)에 베드로와 요한이 聖殿(성전)에 올라갈새제 구시 기도 시간에 - 3시를 가리킨다. 단 6 : 11 ; 9: 21에 의하면 경건한 유대인들은 하루에 제 삼 시(오전 9시), 제 육시(12시), 그리고 본문에 나타난 제 구 시 (오후3시)를 정해놓고 세번의 기도를 하였다. 물론 이것은 구속력있는 율법 규례가 아니라 나의 종교적 관습이었다. 그리고 유대인들의 하루 구분법에 의하면 제 구 시는 해가 기울기 시작하여 저녁시간이 되어가는 오후 예배 시간을 의미한다(출 29:39). 요세푸스(Josephus)에 의하면 유대인들의 공식적 기도시간은 (1) 이른아침. (2)제 구 시, 즉 오후 예배 시간인 이 때..

사도행전 주석 2024.05.13

사도행전 제2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2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2:1​五旬節(오순절) 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 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오순절 날이 - '오순절'이란 말에는 원래 '제50'의 뜻이 있다. 이 날은 유월절 주간의 안식일로부터 50일째 되는 날에 지키는 유대인의 3대 절기(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 신 16 : 1, 10, 13)의 하나이다(레 23 : 15, 16). 오순절은 유월절 기간  동안처음 익은 보리 곡식단을 제단에 드린 날로부터 시작하여 밀 추수로 끝나는 49일(7주)간히 추수 기간 다음 날이기 때문에   '칠칠절'이라고도 한다(출 34 : 22 ; 신  16  :10).또한 이  날은 처음 수확한 밀을 가지고 떡을 만들어 제사를 드리는 절기이므로 '맥추절'(출23 : 16) 혹은 ..

사도행전 주석 2024.05.11

사도행전 제1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사도행전 제1장 주석(요약자; 인내로 결실하는 자) =====1:1 데오빌로여 내가 먼저 쓴 글에는 무릇 예수의 行(행)하시며 가르치시기를 始作(시작)하심부터​데오빌로여(오 데오필레) - 문자적으로는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자' 또는 `하나님의 친구'(`데오스'와  `필로스'의 합성어)라는 뜻이 있다. 누가는 이미 그의 첫번째 저서에서도 수신자가  데오빌로라는 것을 밝힌 바 있다(눅 1:3). 다만 차이가 있다면 누가복음에서는  `각하'라는  존칭이 그에게 붙여져 있다는 것이다. 데오빌로의 신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說)이  있다.(1) 데오빌로라는 이름의 의미가 시사하는 바대로 그는 어떤 특정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사랑하는 그리스도인 독자를 가르킨다는 추측이다(Bruce). 그러나 ..

사도행전 주석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