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자료들 15

원효대사(元曉大師) (617∼686)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원효대사(元曉大師) (617∼686)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신라시대의 고승. 성은 설(薛)씨. 원효는 법명,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 압량(押梁 : 지금의 慶山郡) 불지촌(佛地村) 출신. 잉피공(仍皮公)의 손자이며 내마(奈麻) 담날(談捺)의 아들이다. 648년(진덕왕 2) 황룡사에서 스님이 되어, 각종 불전을 섭렵하며 수도에 정진하였다. 650년(진덕여왕 4)에 의상과 함께 당(唐)의 현장과 규기에게 유식학을 배우려고 요동까지 갔지만, 그곳 순라군에게 첩자로 몰려 여러날 갇혀 있다가 겨우 풀려나 돌아왔다. 10년 뒤, 다시 의상과 함께 해로를 통하여 입당(入唐)하기 위하여 가던 중, 해골에 괸 물을 마시고 "진리는 결코 밖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

역사자료들 2021.12.02

김유신(金庾信)(출처;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김유신(金庾信)(출처;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출생일 595년 사망일 673년 경력 태대각간, 대총관 SHAPE \* MERGEFORMAT SHAPE \* MERGEFORMAT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장수. SHAPE \* MERGEFORMAT SHAPE \* MERGEFORMAT 개설 증조부는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투항한 금관가야의 구해왕이며, 할아버지는 무력(武力), 아버지는 서현(舒玄)이다. 어머니는 만명부인(萬明夫人)이다. 어머니의 증조부는 지증왕, 할아버지는 진흥왕의 아버지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아버지는 숙흘종(肅訖宗)이다. 숙흘종은 만명을 감금하면서까지 서현과의 혼인을 반대한 바 있다. 이는 신라에 투항한 가야 왕족이 당시에 비록 진골 귀족(眞骨貴族)..

역사자료들 2021.12.01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국시대 신라의 제29대(재위: 654~661) 왕. 출생일 603년 사망일 661년 SHAPE \* MERGEFORMAT SHAPE \* MERGEFORMAT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제29대(재위: 654~661) 왕. SHAPE \* MERGEFORMAT SHAPE \* MERGEFORMAT 개설 재위 654∼661. 성은 김씨. 이름은 춘추(春秋). 진지왕의 손자로 이찬(伊飡) 용춘(龍春 또는 龍樹)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천명부인(天明夫人)으로 진평왕의 딸이다. 비는 문명부인(文明夫人)으로, 각찬(角飡, 角干) 김서현(金舒玄)의 딸, 즉 김유신(金庾信)의 누이동생 문희(文姬)이다. SHAPE \* MERGEFORMAT SHAPE \* MERGEFO..

역사자료들 2021.12.01

중국의 역사(출처; 위키백과)

중국의 역사(출처; 위키백과) 중국의 역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1250년 무정의 통치기인 상나라(기원전 1600~1046년 경)로 거슬러 올라간다.[1][2] 황하 문명은 여러 다른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국 본토에서는 하나라, 은나라, 주나라 이래 약 5000년 동안 수많은 민족들이 건국한 왕조가 흥망을 반복해 왔다. 한나라 때 중화민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이라는 말이 성립되었다. 한나라의 멸망 이후 위진남북조시대가 시작되었으며 그에 따라 변방의 이민족들이 중국 화북 지역을 정복했고 한족들은 장강 이남으로 내려가 나라를 세우며 땅을 개척하게 된다. 수나라 때는 400년 간 분열됐던 중국 대륙이 재통일되었으며 이후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통일왕조를 이어간다. 당나라가 멸망한 뒤 또다른 ..

역사자료들 2021.12.01

원광법사(출처; 위키백과)

원광법사(출처; 위키백과) 원광(圓光, 542년 ~ 640년[1])은 신라 진평왕 시대의 유명한 승려이자 학자이다. 세속에서의 성은 박씨이다. 중국에서 불경을 연구하고 강의하면서 이름이 높았던 원광은 신라로 돌아 온 후 《여래장경사기(如來藏私記)》 ·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하였다.[2] 한편, 교화활동에 힘써 국민도덕 및 사회윤리를 선양하는 일을 도모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제정이다.[3] 진평왕 30년(608년)에는 왕명으로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수나라에 출병을 요청했다.[2] 목차 1생애 2사상 3세속 오계 4걸사표 5원광이 등장한 작품 6같이 보기 7각주 8참고 문헌 9외부 링크 생애[편집] 원광의 생애에 대해서는 ..

역사자료들 2021.12.01